홈 > 디렉토리 분류

1815년 김명호(金命昊)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15.4719-20150630.06252570033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명호, 이병순
작성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작성시기 1815
형태사항 크기: 30.2 X 42.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5년 김명호(金命昊) 서간(書簡)
1815년 4월 1일에 김명호가 상대방을 위문하고 전염병 상황을 물어보기 위해 이병순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손자가 요절한 소식을 들었는데 당신과 당신의 며느리인 김씨는 잘 감당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또한 요사이 전염병이 여기저기서 창궐하여 불안해하고 있는데 당신이 있는 청안의 상황은 어떠한지를 묻고 있다.
1차 작성자 : 김인호

상세정보

1815년(순조 15) 4월 1일에 金命昊가 慘慽의 변고에 대해 위문하고 전염병 상황을 물어보기 위해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
1815년(순조 15) 4월 1일에 金命昊가 慘慽의 변고에 대해 위문하고 전염병 상황을 물어보기 위해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이다.
金命昊는 본관이 善山, 자가 穉明으로, 七巖 金夢華의 손자이자 金慶久의 아들이다. 李秉淳金夢華의 사위이므로, 金命昊李秉淳에게 처조카가 된다.
먼저,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소식을 접하기 어려운 데 대해 아쉬운 마음을 표하고 수령으로 재직하고 있는 李秉淳이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李秉淳은 이 당시 淸安縣監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또 지난번 慘慽에 관한 소식이 과연 꿈인지 사실인지 반문하고, 침통한 마음을 전하였다. 자신의 형수이자 李秉淳의 며느리인 義城金氏의 슬픈 심경은 말하지 않아도 생각할 수 있겠다고 하였으며, 慈念이 독실한 李秉淳이 어찌 차마 감당할 수 있겠느냐고 하였다. 편지의 이 내용으로 보아, 李秉淳이 이 시기에 손자를 잃었던 것으로 보인다. 金命昊는 어머니와 자신이 병을 앓으며 오랜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하면서 悶迫한 심정을 이루 다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하였다. 더구나 전염병 기운이 육박하여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으므로 어버이를 모시고 있는 처지에서 더욱 悶迫하다고 하였다. 특히 금년에는 輪症이 어디에나 창궐하여 부음이 날마다 이른다고 하며 좌불안석의 상황이라고 하고, 淸安의 상황은 어떠한지 물었다.
李秉淳(1751~1818)은 본관이 眞城, 자가 幼性이다. 그는 退溪 先生의 손자 李純道의 高孫인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그는 1804년에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1814년에 淸安縣監으로 임명되었는데, 재직 중이던 1818년에 사망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5년 김명호(金命昊) 서간(書簡)

省式。自海平便使。非不陸續。
而一江間之。聲息莫憑。每關
修候。恒庸伏悵。伏未審此時
政候萬安。種種伏溯區區無任
之至。第伏念向來慘慽之報。
夢耶眞耶。不覺甚寒骨
冷。寃乎慘矣。不忍長說。
令子婦嫂氏情境。不言可想。而
叔主慈念之篤。豈忍堪耐也。爲
之悲悼萬萬。婦姪。慈癠身病。
長時度了。這間悶迫。無以容
達。而廊下時氣四圍。死
亡相繼。侍下人事。尤
切悶迫。奈何。今年
輪症。無處
無之。而自外
凶音日至。此
何變年。坐
不安席。
伏未知貴邑
何如也。茫未
聞知。伏鬱伏鬱。
餘。不備。伏惟。
乙亥 四月 初一日。婦姪 金命昊 拜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