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2년 이동순(李同淳)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12.4717-20150630.0625257000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동순, 이병순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12
형태사항 크기: 21.7 X 34.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2년 이동순(李同淳) 서간(書簡)
1812년(순조 12) 10월 1일에 이동순(李同淳)이 모종의 일에 대해 부탁하고 향중의 여러 소식들을 전하기 위해 이병순(李秉淳)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병순이 편지에서 언급한 일에 대해서는 잊지 않고 유념해 주는 것이 이처럼 열심이니 감사하는 마음을 가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내년 여름 이후로는 더는 살피는 일이 없을 것이니 장차 어이하겠느냐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 돌아오는 인편에 상세히 답변해 달라고 당부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미상이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812년 10월 1일, 李同淳이 모종의 일에 대해 부탁하고 鄕中의 여러 소식들을 전하기 위해 李秉淳에게 보낸 편지
1812년(순조 12) 10월 1일에 李同淳(1779~1860)이 모종의 일에 대해 부탁하고 鄕中의 여러 소식들을 전하기 위해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9월 18일에 보낸 편지를 보고 이때 直宿하고 있는 李秉淳가 무탈하고 임금의 거둥을 隨駕한 때에도 평안하게 다녀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 뒤로 날짜가 많이 지났다고 하면서, 李秉淳의 안부를 물었다. 李同淳 자신은 어버이께서 장기간 위태로우셔서 애를 태우는 와중에 자신도 痢症으로 인해 거의 죽었다가 겨우 회생하여 이제 막 차도가 있기는 하나 완전히 소생할 기약은 없다고 하면서 근심스럽다고 하였다. 李秉淳가 편지에서 언급한 일에 대해서는 李秉淳가 잊지 않고 유념해 주는 것이 이처럼 열심이니 감사하는 마음을 가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내년 여름 이후로는 더는 살피는 일이 없을 것이니 장차 어이하겠느냐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 돌아오는 인편에 상세히 답변해 달라고 당부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미상이다.
추신에서는, 梅園 숙부님의 喪事에 대해 참혹한 마음을 표하고 이후 원근이 소란스럽고 비방하는 말이 날마다 이를 것이니 근심스럽다고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미상이다. 몇 달 상간에 至親이 세 사람이나 사망한 것은 지극한 변고라고 하였다. 9월 27일에 禮安鄕校에서 道會가 열렸는데, 大山 李象靖을 追享하는 일에 대해 道儒의 논의가 일치했다고 하였다. 廬江書院에 定所하여 任員을 정하고 疏廳을 열었는데, 疏頭는 浮浦芝涯 형님이 되고 掌議는 柳晉春金虎燦이 되었다고 하면서, 매우 훌륭한 일이라고 평하였다. 그러나 廬江書院의 位牌 遷動 문제로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는 소식을 전하였다.
李秉淳(1751~1818)은 본관이 眞城, 자가 幼性이다. 그는 退溪 先生의 손자 李純道의 高孫인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그는 1804년에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1814년에 淸安縣監으로 임명되었는데, 재직 중이던 1818년에 사망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2년 이동순(李同淳) 서간(書簡)

諫院便付書。姑未見。見九
月十八日出書。伏審此時
直中氣候姑無添節。
擧動隨駕之時。亦平安
往還。遠外消息。此外更
何有。便後爲日已多。伏
未審
體候更無損節。伏不任
區區之至。從弟。親候長時
凜綴。焦煎憫菀之中。
身亦痢症。幾死僅生。今纔
得減勢。蘇完無期。伏悶
伏悶。書中下示事。
兄主不忘勤念。若是
無怠。不勝感謝。然明
夏以後。則更無顧望。
此將奈何。必壽從發行時
知之。立促艱寫。不備白。回便則詳細下示。伏望。
壬申 十月 初一。三從弟 同淳 上書。

梅園叔主喪事。慘愕慘愕。至親無依。巷無居人。將
若之何。自此以後。遠近騷動。毁言日至。是
憫是憫。奈何。不過數月之內。至親
三寃。極燮極燮。奈何奈何。
慟哭慟哭。已矣已矣。
雖有公議云。姑無公議之效。
無奈道上浮言。如何可
取信也。
九月二十七日。設道會於
鄕校。以大山追享事。道議
詢同。定所於廬江書院。播
任設疏。而疏頭則浮浦芝涯
兄主。掌議則柳晉春金虎
。殊甚盛擧。然不無言論。
以舊位遷動事。有言論
云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