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1년 전희룡(全熙龍)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11.1100-20150630.06252570003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전희룡, 이병순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811
형태사항 크기: 30.4 X 39.1
장정: 낱장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1년 전희룡(全熙龍) 서간(書簡)
1811년 7월 15일에 전희룡이 여러 근황을 전하기 위해 이병순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의령이상규가 성균관시험에서 장원을 한 사실, 아직 도목정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실을 전하였다. 또한 경주의 이 형이 내일 길을 출발하고 홍영관이 제술과에 합격한 사실들을 적고 있다. 끝으로 당신께서 복통을 잘 다스리고 몸을 잘 보중하라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김인호

상세정보

1811년(순조 11) 7월 15일에 全熙龍이 여러 근황을 전하기 위해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
1811년(순조 11) 7월 15일에 全熙龍이 여러 근황을 전하기 위해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이다.
피봉의 내용으로 보면, 수신자인 李秉淳順陵參奉으로 재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李秉淳1809년(순조 9) 12월 7일에 順陵參奉으로 제수되었다. 또한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全熙龍1811년에 祭監 監察로 재직하고 있었다.
먼저, 그저께 밤에 宜寧의 上舍 李象奎(榜目에는 李祥奎로 기재되어 있음)가 秋到記講에서 居首를 차지했다고 하면서 좋은 광경을 보게 되었으나 李秉淳이 없어서 한층 섭섭한 마음이 간절했다고 하였다. 이러한 즈음에 李秉淳이 보내준 편지를 받아 보니 내용이 간절하고 字畫이 精細했다고 하면서, 보배로운 구슬을 받은 것 이상으로 欽歎했다고 하였다. 서늘해진 날씨에 參奉으로 재직하고 있는 李秉淳이 대체로 평안하게 지내고 있으나 腹部에 牽痛이 있음을 편지로 알게 되니, 위안이 됨과 동시에 걱정스럽다고 하였다. 全熙龍 자신은 객지에서 예전처럼 지내고 있으나 돌아가고픈 마음이 더욱 새롭게 들고 있다고 하였다. 吏曹의 堂上이 아직까지 肅拜하지 않고 있어서 大政이 시행될 기약이 없다고 하면서, 누가 陞遷될 수 있을지 현재로선 알지 못한다고 하였다. 東都 李兄이 내일 출발하려고 하는데 함께 가지 못하기에 送別의 정을 억제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또 이와 관련하여 邸吏의 행태가 괘씸하다고도 하였다. 觀峴洪楚山(楚山府使 洪時溥)의 아들 洪永觀도 製第에 합격하였으니 한 번의 좋은 운수인 듯하지만 直赴하게 하라는 傳旨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고 하면서 惶蹙하다고 하였다. 끝으로, 李秉淳이 秋夕 전에 出直하지 못하면 그때의 답답한 마음을 장차 어찌 견디겠느냐고 하고 腹部 통증을 잘 다스려 保重하기를 기원하였다.
李秉淳(1751~1818)은 본관이 眞城, 자가 幼性이다. 그는 退溪 先生의 손자 李純道의 高孫인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그는 1804년에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1814년에 淸安縣監으로 임명되었는데, 재직 중이던 1818년에 사망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1년 전희룡(全熙龍) 서간(書簡)

順齋 下執事 入納。
頖旅 全監察 謝書。【謹封】
晠世優遊。莫非國恩。而猶有合散之
歎。連以八陣之戱。一局之賭。接膝聚首。
不計成敗利鈍。只取談笑消遣。而一般
興味。不足以排百倍愁緖。再昨夜。宜
李上舍象奎。以六略一紙登龍。非但
奇壯於自家。寂寥中剩得好光景。右
座虛一。尤切悵仰。際玆伏承耑札。辭意
勤摯。字畫精細。似非老人眼力所及。奉讀
欽歎。不啻瓊琚之錫。謹審天氣乍凉。
直候動止珍衛。而腹部有牽痛之症。仰
慰且慮。無任區區。下生。旅屑
依舊。而歸思益新。自憐奈
何。銓堂尙不出肅。大政無期。
姑未知誰
可陞遷。
而列邑延
吏之弊甚
多云。東都
李兄。明欲
發程。而
未得幷
轡。送別
之懷難抑。
邸吏累
次定限而
見欺。昨又
招來。雖夜必納云。
而尙寂然。所爲可
痛。兄入直。未之
聯名。其在盛念。
必以薪悵矣。觀峴
洪楚山之子永觀。亦
登製第。似是一番
運數。而直赴傳
旨尙未下。方用惶
蹙耳。果如所
敎。秋夕前若未出
直。其時仰鬱。將
何堪遣。閑養靜
攝之方。工夫有素。
惟祝旅候保重。
不備。伏惟。
辛未 七月 十五日。下生 全熙龍 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