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1년(순조 1) 1월 28일에 海隱 金熙成(1741~1804)이 歸覲 온 딸의 안부를 알리고 科行과 관련하여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
1801년(순조 1) 1월 28일에 海隱 金熙成(1741~1804)이 歸覲 온 딸의 안부를 알리고 科行과 관련하여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이다.
金熙成는 본관이 義城, 자가 誠之로, 一枝窩 金宅東의 아들이다. 文科에 급제하고, 持平에 제수된 바 있다. 그의 딸인 義城金氏가 李秉淳의 아들인 李彙文와 혼인하였으므로, 그와 李秉淳는 서로 사돈지간이 된다. 먼저, 근래 조금 격조하여 그리운 마음이 한층 간절해졌다고 하였다. 이어 요사이 喪中에 있는 李秉淳가 어떠한지 안부를 묻고 딸아이(李秉淳의 며느리 義城金氏)가 이미 歸覲하여 슬하에 사람이 없으니 李秉淳가 더욱 지내기 어려울 줄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이는 李彙文의 사망과 관련한 언급으로 보인다. 자신은 예전처럼 지내고 있으며 오랫동안 계속된 손자의 질병이 근래 다행히 조금 괜찮아졌다가 또 다시 악화되었다고 하면서 가련하고 걱정스럽다고 하였다. 딸아이가 온 뒤로 질병은 없으나 부모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 비참한 기색을 짓지 않고 있는데 이것이 더욱 차마 보지 못할 것이라고 하였다. 李秉淳의 仲氏 李民淳 및 從氏들이 科擧를 보러가는 제반 준비 상황이 괜찮은지 묻고, 큰아들인 金在仁이 타고 갈 말을 아직 입수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또 큰아들이 照訖講 때문에 먼 곳으로 달려갔다고 하면서, 李秉淳 쪽의 응시자들은 이러한 수고가 없을 줄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李秉淳(1751~1818)은 본관이 眞城, 자가 幼性이다. 그는 退溪 先生의 손자 李純道의 高孫인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그는 1804년에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1814년에 淸安縣監로 임명되었는데, 재직 중이던 1818년에 사망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