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병○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0000.4717-20150630.0625257008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양진, 이중석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형태사항 크기: 21 X 45.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병○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병(丙)자 들어가는 해의 1월 28일에 우헌(愚軒) 김양진(金養鎭)이 근황을 교환하고 혼인 시기에 대한 의견을 회시해 달라고 하기 위해 이중석(李中錫)에게 보낸 편지이다. 처음 상대가 눈병에 걸린 소식을 알고 염려되는 마음을 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근황에 대해 집안의 병치레 하는 상황을 알렸고, 이어서 신암(新岩)종옥(宗玉)의 안부, 집안 혼사에 관한 상대의 의향을 물었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상세정보

丙年 1월 28일, 愚軒 金養鎭이 근황을 교환하고 혼인 시기에 대한 의견을 회시해 달라고 하기 위해 李中錫에게 보낸 편지
丙年 1월 28일에 愚軒 金養鎭(1829∼1901)이 근황을 교환하고 혼인 시기에 대한 의견을 회시해 달라고 하기 위해 李中錫(1854~1912)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중석李秉淳의 曾孫이자 李晩禧의 아들로, 자가 圭範이다. 그는 義城金氏와 혼인하였는데, 의성 김씨는 바로 김양진의 딸이다. 따라서 김양진이중석의 장인이 된다.
먼저, 오늘 사람이 온 것은 뜻밖의 일이었는데 이중석의 편지가 오지 않은 것은 참으로 뜻밖이었다고 하였다. 그런데 諺書에 눈이 아프다고 한 언급이 있었는데 종이 이중석이 근래 산으로 갔다고 말했다고 하면서, 눈이 아픈 것은 평소 염려하던 것인데 이러한 때에 이중석이 산으로 갔으니 염려가 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이중석이 밤사이 어떠한지 안부를 물었다.
김양진 자신은 藥을 찾고 먹이느라 날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고 하면서 신년의 厄會라고 하였는데, 편지에 언급된 사연의 구체적인 내용은 미상이다. 新岩의 근래 안부는 평안하게 지내고 있으며, 宗玉[李晩濬] 형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안부를 물었다. 다음으로 婚說에 대해 언급하였다. 규수의 나이가 이제 15세라서, 자신이 주선하고 있는 應春을 재촉하지 않고 이중석의 말을 기다려 결혼 시기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차후에 반드시 인편을 구해서 의향을 알려 달라고 이중석에게 당부하였다.
이중석은 본관이 眞城, 자가 圭範이다. 그는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인 이병순의 증손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陶山書院의 院任을 지냈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병○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壻君奉狀。
省。此日人來。自是望裏。而君書不至。誠
是望外。諺書云有眼苦。奴言近作峽行。眼苦
素所慮念者。而此時峽行。亦係瑕慮。以此以彼。
俱不能釋心。未知夜來
侍履若何。更溯。服人。月初一動。備經艱關。
歸路梗槩。想已聞知。自後送數隷救療。念
後起數十丁舁來。見方求宜於之間。尋
藥喂養。日不暇給。大是新年厄會。愁悶
奈何。新岩近候平安否。宗玉兄侍節何如。
龍溪搬移大定。此兄無乃於共動耶。午嶺
云事。日前委見應春。則業已微發矣。
然閨年果十五。昏主對春兄。出見娘子。而
春兄之言。亦云目下所見萬無。而明年成禮之
樣云。牢定待年。亦似無妨。而昏主旣
無識見。拖過數年。恐有恃隣之端。故我
亦不敢敦迫此兄。欲待君言。以爲進退計。
此後須討便示之也。吾意。則若有從他區處。
則不必自我戀之。然此亦天緣。吾亦不斷意
耳。從後詳示也。餘。心撓胡漏。不具。
元 卄八。婦拙 養鎭 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