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57년 이영철(李英哲) 화회(和會) 분재기(分財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E.1657.0000-20150630.0625252000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상속/증여-분재기
작성주체 이영철, 이주창, 황상중
작성시기 1657
형태사항 크기: 43.5 X 58.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657년 이영철(李英哲) 화회(和會) 분재기(分財記)
1657년(효종 8) 3월 22일에 의흥(義興)의 숙모(叔母) 남씨(南氏)가 후사 없이 돌아가시자, 그 재산을 네 형제자매의 집안에서 나누어 가지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재산분정에는 종가인 의흥댁(義興宅) 집안 및 진성이시 의인파 문중인 별좌댁(別坐宅) 집안, 정랑댁(正郞宅) 집안, 성주댁( 星州宅) 집안이 참여하고 있다. 이영철(李英哲)은 돌아가신 아버지 대신 분집에 참여하여 논밭 15마지기 이상, 여자종 1명을 받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657년에 李英哲이 아버지 李嵂 대신 義興의 叔母 南氏의 화회분재에 참여하여 재산을 물려받은 分財記
1657년(효종 8) 3월 22일에 義興의 叔母 南氏가 후사 없이 돌아가시자, 그 재산을 네 형제자매의 집안에서 나누어 가지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진성이씨 의인파 문중에 전해 오는 19건의 분재기 가운데 하나이다. 재산분정에는 종가인 義興宅 집안 및 別坐宅 집안, 正郞宅 집안, 星州宅 집안이 참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별좌댁이 상의원 별좌를 지낸 李嵂(1583~1615)의 진성이씨 의인파 문중이다. 李英哲(1607~1681)이 돌아가신 아버지 대신 재산 분집에 참여하고 있다.
본재기 본문 앞머리에서 네 집안이 균등히 재산을 나눈다는 원칙이 있지만, 몇 가지 예외 조항을 두고 있다. 첫째는 祭祀位로 노비 4명과 전답 33마지기를 따로 뽑아 놓은 나머지를 분배한 다는 것이다. 둘째는 전답문서(여기서는 본 분재기에 대한 ‘본문기’라고 표현하고 있음)가 남아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 빼앗겼거나 소재가 불분명한 재산은 찾아내는 대로 나눈다는 것이다. 셋째는 醴泉에 있는 외가의 제사 및 祖父母가 명한 제사는 외가 자손들이 돌아가면서 행해야 하지만 모두 거리가 먼 지역에 살고 있으므로, 모두 종가에게 위임하는 대신 永順 代田 7마지기, 盤渚의 논 3마지기를 종가에 속하게 한다는 것이다. 넷째 殷豊에 있는 畓 7마지기와 渚谷에 있는 陳田 5마지기는 張起龍란 자와 노비 분쟁 와중에 그에게 팔아버렸으니, 이를 명시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재산상에 분명히 할 조항을 정리하였고, 각자 나누어 가진 재산은 다음과 같다.
����義興宅(종가) : 논 20마지기, 밭 13마지기, 노 1명, 비 3명
����別坐宅(代子 幼學 李英哲이 수령) : 논 5+마지기, 밭 10+마지기, 비 1명
����正郞宅(代孫 幼學 李冑昌이 수령) : 논 5+마지기, 밭 23마지기, 비 1명
����星州宅(代子 幼學 黃尙中이 수령) : 논 8+마지기, 밭 11마지기, 비 또는 노 1명
문서의 일부가 결락되어 있어, 분급한 재산의 일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이 외에 黃●이란 자도 밭 6마지기의 재산을 받고 있는데, 黃●는 ‘宅’이라는 호칭이 없고 성명을 낮추어 적은 것을 볼 때, 양반 신분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서 좌측에 추가로 적은 사항이 있다. 이는 용춘이란 여자 종의 집에 저장된 곡물에 관한 내용이다. 용춘은 종가인 의흥댁의 소유로 정한 여자 종의 이름인데 오래전부터 곡물을 보관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 곡물은 義興 叔母主, 즉 재산의 원래 주인인 南氏의 喪葬에 쓰고 이제 15석만 남았다고 한다. 따라서 이 곡물은 숙모의 墓道에 標石과 무덤의 床石을 마련하는데 쓰라고 용춘에게 준다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57년 이영철(李英哲) 화회(和會) 분재기(分財記)

順治十三年丁酉三月二十二日。和會成文爲臥乎事段。南義興叔母主外內俱▣…▣
後嗣。若干衿得田民。依法典。祭祀位。奴婢四口果。田畓幷三十三斗▣…▣
爲先擇出後。其餘田民乙。四同生家。平均分執。而田畓。則本文記所載▣…▣
或見奪於人。或庫無未推。故隨其見存。分之爲旀。且醴泉外家祭祀及曾
祖父母命技祀事。外子孫中亦。當輪行。而各在遠地。未能奉行。專委宗家事。
極未安。故永順代田。四斗。盤渚畓。三斗落只。未分遺漏乙仍于。永爲歸屬宗
家爲遣。殷豊畓。七斗落只。渚谷陳田。五斗落只。未分遺漏。而 先世有奴婢買得
張起龍處。而起龍。與奴婢卽爲散亡之後。到今反有孫宗伯橫侵之患。而同奴
婢乙。不得現出。故困辱萬端。不得已價折備給之時。右田畓乙賣給爲有昆。此▣…▣
宅不可不知。故竝爲書塡爲去乎。後次子孫中。如有爭望之事爲去等。用此文卞正事。

義興宅祭祀位段。烏村顔租畓。六斗。中坪畓。七斗。烏村畓。又四斗。方達員
買得畓。三斗。大吐前坪田。十一斗。同員買得田。二斗落只。及婢龍春庚戌生。同婢
一所生婢龍今辛未生。二所生奴龍山癸酉生。婢龍今一所生婢㮔加屎 生。印。

別坐宅衿。 大吐員允丁家前畓。三斗。永順山鉢里畓。二斗。永順內畓。▣…▣
大洞員朴得龍作畓傍伏在田。皮八斗。縣代田。二斗。草洞田。▣…▣
落只。婢龍春五所生婢別陽戊子生。印。
正郞宅衿。 縣員決堤畓。二斗。沙堤畓。三斗五升。永順山鉢▣…▣
鍮店田。皮十二斗。梨谷員田。皮八斗。草洞田。皮三斗。▣…▣
六所生奴加邑八里乙未生。印。

星州宅衿。永順內畓。二斗。山鉢里內畓。二斗。代洞畓。四斗。同▣…▣
皮十三斗。草洞田。皮十一斗落只。婢龍春四所生▣…▣

黃●衿。縣熊岩田。米牟六斗▣…▣

別坐宅。代子。幼學。李英哲。[着名]
正郞宅。代孫。幼學。李冑昌。[着名]
星州宅。代子。筆執。幼學。黃尙中。[着名]

追錄。龍春家所儲谷物。旣已年久。而今始推問。▣…▣用於
義興叔母主喪葬之時。餘存只十五石云云。故同谷物乙谷物義
興叔母主墓道標石床石借備表植次。以龍春處。因爲
捧授爲去乎。渠若趁不擧行。則治罪倍徵。已爲期於必
成之意。各爲知悉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