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88년 김언기(金彦璣) 팔자녀(八子女) 화회(和會) 분재기(分財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E.1588.4717-20150630.019525200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상속/증여-분재기
작성주체 김언기, 이씨, 득연, 득수, 득의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구리
작성시기 1588
형태사항 크기: 39.3 X 219.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와룡 광산김씨 유일재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구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588년 김언기(金彦璣) 팔자녀(八子女) 화회(和會) 분재기(分財記)
1588년(선조 21)에 2월 29일에 김언기(金彦璣, 1520~1588)가 8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전처 남씨(南氏)가 낳은 3자녀와 후처 이씨(李氏)가 낳은 자녀인 5자녀가 재산을 분급 받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588년에 金彦璣가 8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면서 작성한 분재기
1588년(선조 21)에 2월 29일에 金彦璣(1520~1588)가 8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전처 南氏가 낳은 자녀인 장녀 權山斗의 처, 차녀 李景鯉의 처, 장남 得硏과 후처 李氏가 낳은 자녀인 次子 得䃤, 次女 南太華의 처, 次女 權混의 처, 次女(이름불명), 末子 得礒가 재산을 분급 받고 있다.
김언기는 분재기 서두에서 "나의 나이가 70에 이르렀고 병이 들어 오랫동안 앓고 있으니, 생사를 기약하기 어렵고 길흉을 점칠 수 없게 되었다."라고 말하면서 이 문서를 세 건 만들어 전후의 일을 분명히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집안이 대대로 빈궁하여 전해 주는 것은 적지만 자녀들은 공평이 나누어 가지고 만약 다른 말을 하는 자가 있거든 법으로 죄를 다스리라고 당부하고 있다. 그리고 재산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단서를 달고 있다.
����8남매 가운데 후사가 없는 자가 있거든, 그가 받은 토지와 노비는 남에게 팔아버리지 말고, 本孫이나 支庶에게 처치하여 의거해 살 수 있게 할 것.
����家舍는 장자와 차자 모두 外祖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있으므로, 여기에는 다로 기록하지 않음.
����우리 부부의 제사 외에 양쪽 조상의 제사는 ○○○하지 말 것.(결락되어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음)
����토지 약간을 따로 두었으니, 세 아들 가운데 나중에 학업에 성공을 거둔 자가 있으면 그에게 줄 것.
다음으로 각자 나누어 가진 재산은 다음과 같다.
����장녀 權山斗의 처 : 노 1명, 비 3명, 논 16마지기, 밭 25마지기
����차녀 李景鯉의 처 : 비 3명, 논 18마지기, 밭 33마지기
����장남 得硏 : 노 1명, 비 3명, 논 20마지기, 밭 23마지기, 논밭 불명 6마지기
����차자 得䃤 : 노 1명, 비 4명, 논 36마지기, 밭 32마지기, 논밭 불명 20마지기
����차녀 南太華의 처 : 노 1명, 비 3명, 논 24마지기, 밭 12마지기, 목화밭 7마지기
����차녀 權混의 처 : 노 2명, 비 2명, 논 33마지기, 밭 15마지기
����차녀(이름불명) : 노 1명, 비 3명, 논 28마지기, 밭 23마지기
����말자 得礒 : 노 1명, 비 1명, 논 16마지기, 밭 8마지기
����奉祀條 : 노 2명, 논밭 12마지기
이상의 분급 사항 외에 도망 노비로 노 閔石과 비 居此里 이 있는데, 이들과 이들의 소생은 전처의 3자녀가 잡아다가 공평하게 나누라고 말하고 있다. 전처의 3자녀보다 후처의 5자녀에게 분급한 재산이 좀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후처인 이씨의 재산이 좀 더 규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재주인 김언기와 이씨 외에 문서작성에 證保로 김언기의 사촌동생인 學錄 安霽, 필집으로 친동생인 金彦玲이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봉사조로 배정한 재산에 대해 수정사항이 있다. 문서 좌측에 보면 1599년(선조 32) 6월 11일에 어머니인 이씨와 末子인 得礒가 작성해 놓은 또 다른 문서가 있다. 여기에서 1588년의 재산 분급은 돌아가신 남편인 김언기가 병세가 위급하여, 인사불성일 때 시행되어 봉사조로 너무 적은 토지가 배정되었다는 것이다. 나중에 이를 알고 다시 문서를 작성하려 했으나 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으므로 봉사조로 意字 자호의 논을 다시 배정한다는 것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588년 김언기(金彦璣) 팔자녀(八子女) 화회(和會) 분재기(分財記)

萬曆十六年戊子二月二十九日。前後室子女八男妹
亦中。許與成文者。吾生年至七十。病且沈痼。死生
難期。吉凶未卜乙仍于。成此文三度。以明前後事。
家世貧窮。所傳得至小。前後室所傳受。亦不優。
雖以自備買得。竝計合數。各其子女亦中。平均分
▣爲去乎。汝徒等。依此文所錄執持耕喚爲乎矣。若
有異言生謀者。以此文告官。依法治罪爲彌。汝八男妹
中。無後絶嗣爲去乙等。所受田民乙。損外散賣除良。本
孫支庶中。隨宜區處。使有依據事。家舍段。長子。則乃
外祖傳繼大家爲有昆。次子。則亦其外祖所成給家。例
當持守。故不錄充記爲旀。末子。則爲人後。而喫着稍存。
故▣他所給別之減小爲去乎。吾夫妻祭祀外。兩邊祖上祭
▣▣良擬只安徐事。汝三子有志學術。迄未成功。余常
歎惜。死猶不忘。他日必有成功者。父母喜慶。幽明無間。故
別給次。田土乙。別置若干爲去乎。如賜面命卞執持事。大抵汝徒
等。體余一心。各警爾思。永孚于体。無墜乃父之志。千萬幸甚。
手振不書。使弟代寫。

前室
權山斗衿。
妻邊傳來婢從伊乙亥生。生員別得婢春伊
戌生。妻邊奴貴同一所生奴仍叱石壬午生。矣奴種山一所
生婢命介乙亥生。妻邊傳來渠字田十二斗落只。及同員
買得田五斗落只。玄阿里員畓六斗落只。買得謝字
畓五斗落只。妻邊傳來歡字田捌斗落只。別得巾
▣畓一石落只內。上邊五斗落只。印。

次女李景鯉衿。
妻邊傳來婢銀今甲申生。矣奴種山五所生婢
乙酉生。妻邊奴貴同二所生婢仍叱春甲申生。別得巾字
畓一石落只內。下邊十斗落只。退峴員買得畓五斗落
▣。買得欣字田一石落只。妻邊慮字田十三斗落只。逍
▣畓三斗落只。印。

長子得硏衿。
妻邊傳來奴凡同一所生奴凡石丙寅生。同奴一所生婢
壬午生。奴貴同三所生婢仍叱分丁亥生。矣奴種山
所生婢福介丁丑生。妻邊遙字田十斗落只。矣邊
▣字田九斗落只。同員買得田四斗落只。買得的字
▣六斗落只。妻邊歷字畓一石落只。印。

妻邊衿得奴閔石居此里等。逃亡不現。必多産長。
汝三男妹等。如得聞見。共力推捕。平均執持事。印。
後室。
次子得䃤衿。
妻邊傳來婢春德一所生婢權分庚申生。同婢一所
▣婢春香甲申生。矣奴種山癸丑生。婢春德二所生婢
春香丁卯生。三所生奴春福己巳生。吾夫妻行者入事。
■■■■■■■■■■■■■■家代滿字田十
斗落只。矣邊滿字田一石落只。買得逐字兩畓幷十八
斗落只。妻邊持字畓買得幷十斗落只。買得移字簿
▣卄斗落只。買得滿字田二斗落只。同員畓三斗落只。
買得意字畓田幷五斗落只。印。
次女南太華衿。
妻邊傳來婢允分辛酉生。同婢一所生婢億介
乙酉生。生員別得婢玉春壬戌生。矣婢今音非一所生
億孫丙寅生。妻邊盤字畓十六斗落只。買得鬱
字畓上邊八斗落只。妻邊物字田十二斗落只。滿字木
花田七斗落只。印。
次女權混衿。
買得婢石分一所生婢玉代丙寅生。同婢一所生奴
會一丁亥生。買得婢守分甲子生。婢春香一所生
春鳳乙酉生。買得楹字水畓十斗落只。買得外
里峴員節字畓一石落只。買得滿字田卄斗落只內。十
五斗落只。同員反畓三斗落只。印。

次女衿。
妻邊傳來婢春德三所生婢唜介乙亥生。四
所生婢唜代己卯生。矣奴種山三所生奴福年
卯生。別得婢彦代丙辰生。買得鬱字畓十八斗
落只。買得楹字畓卄斗落只內。上邊十斗落只。同員
買得田三斗落只。買得滿字小叱金田八斗落只。買
得逐字田十二斗落只。印。

末子得礒衿。
矣奴種山四所生奴長壽辛巳生。妻邊傳來婢
春德五所生婢唜春壬午生。買得驚字畓八斗落
只。買得鬱字畓八斗落只。滿字田卄斗落只內。上邊五
斗落只。同員田三斗落只。印。

奉祀。
妻邊別得奴貴同辛丑生。後室幷財買得婢石分
二所生奴玉千庚午生。買得北面遙字畓田幷六斗落
只。後室別買得意字畓六斗落只。印。
財主。成均生員。父。金。[着名]
後室。母。李氏。[印]
證保。四寸弟。學錄安霽。[着名][署押]
筆執。同生弟。金彦玲。[着名]

此亦中。家翁臨終時。子女處。各衿分給爲乎矣。病勢爲急。未有人事爲乎等乙
用良。奉祀位。薄薄畓以。備數成置後。大覺差誤。改成文計料爲如加。未就終身。
幽明之間。想有遺恨是沙餘良。奉祀事重乙仍于。家翁別得爲在。遺漏意
字畓以。還給爲去乎。汝子女等。依此文施行事。

萬曆二十七年己亥六月十一日。母。李氏。[印]
筆。末子。得礒。[着名][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