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5년 김칠근(金七根), 김팔근(金八根) 산송 관련 수표(手標)-1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D.1875.4790-20150630.07302310015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수표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수표
작성주체 김칠근, 김팔근, 권씨문중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작성시기 1875
형태사항 크기: 28 X 34.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5년 김칠근(金七根), 김팔근(金八根) 산송 관련 수표(手標)-1
1875년(고종 12) 8월 6일에 김칠근(金七根), 김팔근(金八根) 형제가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에 작성해준 산송관련 수표(手標)이다.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은 풍기군(豊基郡) 은풍면(殷豊面) 부용산(芙蓉山)에 있는 선산을 두고 그 지역에 사는 과거 묘지기였던 김칠근 형제와 산송을 벌이고 있다. 이 수표는 감영의 처결에 힘입어 김칠근 형제에게 작성하게 한 것이다. 偸埋한 어머니의 무덤을 즉시 파내고, 송추를 몰래 팔아먹은 값을 내라는 두 가지 요구 가운데 전자에 대한 다짐을 담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75년에 金七根, 金八根 형제가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에 작성해준 산송관련 手標
1875년(고종 12) 8월 6일에 金七根, 金八根 형제가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에 작성해준 산송관련 手標이다.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은 豊基郡 殷豊面 芙蓉山에 있는 선산을 두고 그 지역에 사는 과거 묘지기였던 金七根 형제와 산송을 벌이고 있다. 문중의 요구는 김칠근 형제가 偸埋한 어머니의 무덤을 즉시 파내고, 송추를 몰래 팔아먹은 값을 징수하는 것이다. 1874년 이후 豊基郡守, 醴泉郡守, 觀察使, 討捕營將, 暗行御史 등으로부터 여러 차례 처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요구가 이행 되지 않고 있었다.
춘우재 문중은 같은 해 같은 해 7월에 경상감영에 의송을 올려 처결을 받아온 바 있다.[‘1875년 유학(幼學) 권인하(權人夏), 권경하(權經夏) 등 산송 관련 의송(議送)’ 참고] 이 수표는 감영의 처결에 힘입어 작성하게 한 것으로, 문중의 두 요구 가운데 偸埋한 무덤에 관한 다짐을 담고 있다. 김칠근 형제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수표를 작성하였다.
"저는 이 집안의 선산 白虎 지맥에 標를 설치해 놓은 곳에 入葬하였습니다. 감영과 읍의 처결이 이와 같이 엄정하니, 스스로 잘못된 이치라는 것을 알고 즉시 이장하겠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추수가 한창이므로, 추워지기 언제는 무덤을 파내 옮기겠다는 뜻으로 手標를 작성합니다. 이 기한을 넘긴다면 바로 督掘해도 달게 여기겠습니다." 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5년 김칠근(金七根), 김팔근(金八根) 산송 관련 수표(手標)-1

乙亥八月初六日。權氏門中前手
記。
右手標事段。矣身入葬於右宅
先山白虎置標之地是加尼。營官
題決若是申嚴。自知理屈。卽當
移葬。而卽今秋務方極以。未寒
前掘移之意。成手標爲去乎。若過
此限是去等。雖不日督掘。固所甘心
事。
標主。金七根。[着名]
金八根。[着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