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6년 권묵연(權默淵) 권수연(權秀淵) 구명 소지(所志)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B.1886.4790-20150630.0730231000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권묵연, 예천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작성시기 1886
형태사항 크기: 82.7 X 47.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6년 권묵연(權默淵) 권수연(權秀淵) 구명 소지(所志)
1886년(고종 23)에 4월 소저곡(小渚谷)에 사는 권묵연(權默淵)권수연(權秀淵)을 구명하기 위해 예천군 관아에 올린 소지(所志)이다. 당시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의 권수연풍기군 일대에 출몰하던 도적집단인 활빈당에 자금을 납부했다는 의심을 받고 감옥에 갇혀있었다. 권묵연권수연김백담(金白潭)의 모함을 받은 것이니 석방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예천군수는 특별히 석방하라는 처결을 내렸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86년에 小渚谷에 사는 權默淵이 활빈당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혀있는 權秀淵을 구명하기 위해 예천군 관아에 올린 所志
1886년(고종 23) 4월에 小渚谷에 사는 權默淵이 활빈당 사건에 연루된 權秀淵을 구명하기 위해 예천군 관아에 올린 所志이다. 당시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의 권수연풍기군 일대에 출몰하던 도적집단인 활빈당에 자금을 납부했다는 의심을 받고 감옥에 갇혀있었다.
권묵연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권수연金白潭의 모함을 받은 것이다. 김백담李雲成과 부화뇌동하여 함께 도적질을 주창한 자이다. 그는 원래 權學淵의 마름이었다. 그런데 이운성권학연의 집을 빌려서 2년간 머문 적이 있었다. 김백담이운성과 그때 같이 집에 머문 자이다. 이 문서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관련문서를 보면 이운성권학연의 집에 머물면서 이를 근거지로 도적집단의 인원을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권묵연김백담이운성은 하나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김백담이 도적임을 밝히고, 그로부터 모함을 받은 권수연은 석방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런 요청을 받은 예천군 관아는 곧 ‘특별히 석방하라’라는 처결을 내렸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6년 권묵연(權默淵) 권수연(權秀淵) 구명 소지(所志)

小渚谷居化民權默淵
右謹言▣…▣段。民家兄。天性剛直。嫉惡如探湯。故今爲嗾賊人金白潭之所誣陷是乎所。白潭符同雲成。和以唱之。以爲
熒惑人聽是加。同白潭權學淵之累世舍音也。雲成乃與權學淵借屋同室而居。至于二年。昨秋始還故是乎則。以其
家舍音。符同其家同室居之漢。卽一而二。二而一者也。民家兄冤枉之狀。由是而可洞燭。玆以緣由仰訴爲去乎。伏乞特爲
題下。使此治化居民。無有累穢之說。千萬血祝之地爲只爲。
行下向敎是事。
城主 處分。
丙戌四月 日。
官 [署押]

特爲放釋向事。初三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