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5년 유학(幼學) 권경하(權經夏), 권재하(權在夏) 등 산송관련 의송(議送)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B.1875.4790-20150630.07302310005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권경하, 권재하, 권이하, 경상감영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작성시기 1875
형태사항 크기: 87.6 X 54.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5년 유학(幼學) 권경하(權經夏), 권재하(權在夏) 등 산송관련 의송(議送)
1875년(고종 12) 10월에 유학(幼學) 권경하(權經夏), 권재하(權在夏) 등이 경상감영에 올린 산송 관련 의송(議送)이다.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은 풍기군(豊基郡) 은풍면(殷豊面) 부용산(芙蓉山)에 있는 선산을 두고 그 지역에 사는 과거 묘지기였던 김칠근 형제와 산송을 벌이고 있다. 춘우재 문중은 같은 해 8월에 감영의 처결에 힘입어 김칠근 형제에게 소나무 값 4백 냥을 받아 내었다. 그런데 김칠근이 관아에 호소하여 그 가운데 2백냥을 다시 빼앗아 간 것이다. 이에 권경하 등이 감영에 호소하여 바로잡아 줄 것을 청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75년에 幼學 權經夏, 權在夏 등이 경상감영에 올린 산송 관련 議送
1875년(고종 12) 10월에 幼學 權經夏, 權在夏 등이 경상감영에 올린 산송 관련 議送이다.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은 豊基郡 殷豊面 芙蓉山에 있는 선산을 두고 그 지역에 사는 과거 묘지기였던 金七根 형제와 산송을 벌이고 있다. 문중의 요구는 김칠근 형제가 偸埋한 어머니의 무덤을 즉시 파내고, 송추를 몰래 팔아먹은 값을 징수하는 것이다. 1874년 이후 豊基郡守, 醴泉郡守, 觀察使, 討捕營將, 暗行御史 등으로부터 여러 차례 처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요구가 이행 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던 중에 1875년 8월에는 경상감영의 처결에 힘입어 김칠근 형제로부터 소나무 값 4백 냥을 받고, 무덤을 겨울 전에 파낸다는 내용의 手標를 받아내었다.
그러나 춘우재 문중은 같은 해 10월에 다시 경상감영에 議送을 올리고 있는데, 그 이유는 김칠근이 관아에 호소하여 이미 납부한 소나무값 4백 냥 가운데 2백 냥을 다시 빼앗아 갔기 때문이다. 권경하 등은 이에 빼앗아간 소나무 값 2백 냥을 다시 받아주고, 그가 偸埋한 무덤도 즉시 파내게 독촉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감영에서 22일에 처결하길, 2백 냥을 받아간 곡절을 조사하고 공정히 판결하여 다시 소송하지 않게 하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5년 유학(幼學) 권경하(權經夏), 권재하(權在夏) 등 산송관련 의송(議送)

醴泉幼學權經夏權在夏等。
右議送事段。伏以豊基矢項居金七根爲名漢。卽生等墓直也。年前掘去生等置標。偸埋渠母於其處。生等屢次呈訴。營邑督
掘之題。極爲截嚴。而尙今不掘是遣。左右局內松楸。任意斫賣。價至近千金是加。今秋依官決捧松價四百兩是遣。此後段。更勿犯斫之
意。捧標請伏是加尼。其後右漢做作謀陷之說。疑亂熒惑。百般構誣。自官更推所捧二百兩錢奪給右漢是加。第伏念落科捧侤。而頑
拒不掘者。法典之所不容。旣納當捧。而反爲見奪者。民情之所甚寃。玆以前狀粘連仰籲於棠茇之下爲去乎。伏乞。參商敎是後。卽
刻督掘其偸塚是遣。松價見奪條二百兩乙。竝爲督捧之地。無任懇祈屛營之至。

巡相閤下 處分。 乙亥十月 日。 幼學。權彛夏權性夏權敎夏權陽夏。進士。權絅夏。幼學。權明夏權友夏權達夏權綺夏權鼎夏權範夏權奎夏
權喆淵權佑淵權翼淵權佐淵權道淵權玉淵權㷞淵權蓍淵權敎淵。等。

都巡使 [署押]

先捧四百兩。還
推給二百。有
何委折是喩。
査實公決。更
無呼訴之弊
向事。
卄二日。本官。

二十二日酉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