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4년 권진사댁(權進士宅) 노(奴) 용운(龍云) 소지(所志)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B.1874.4790-20150630.07302310007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용운, 예천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작성시기 1874
형태사항 크기: 84.1 X 57.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4년 권진사댁(權進士宅) 노(奴) 용운(龍云) 소지(所志)
1874년(고종 11) 11월에 저곡(渚谷)에 사는 권진사댁(權進士宅) 노(奴) 용운(龍云)풍기군(醴泉郡)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소지(所志)이다. 김칠근암행어사에게 춘우재 문중에서 110냥을 억지로 징수했다는 호소를 하여 집안의 노비가 감옥에 갇혔다. 본 소지는 김칠근의 주장을 반박하고, 그를 처벌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74년에 渚谷에 사는 權進士宅 奴 龍云醴泉郡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所志
1874년(고종 11) 11월에 渚谷에 사는 權進士宅 奴 龍云醴泉郡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所志이다.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은 豊基郡 殷豊面에 있는 선산을 두고 그 지역에 사는 과거 묘지기였던 金七根과 산송을 벌이고 있다.
용운이 상전을 대신하여 다음과 같이 김칠근의 범죄에 대해 말하고 있다.
"우리 상전 댁의 선영은 풍기군矢項山에 있습니다. 묘지기 김칠근이란 자가 상전댁이 설치해 놓은 標를 파내고, 그의 어머니의 무덤을 偸埋했습니다. 그리고 길러 온 松楸도 마구 베어다가 팔았습니다. 또 位土의 賭租도 몇 년 동안 바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읍과 감영에 소송을 했고, 전후로 받은 처결은 엄중했습니다."
라고 하였다. 한편 김칠근은 춘우재 문중에서 110냥을 억지로 징수했다는 일로 여러 관아에 호소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110냥을 억지로 징수했다는 것은 곧 바치지 않은 賭條입니다. 이는 이미 兼官인 順興 관아에서 대변하여,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이었다는 처결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암행어사의 처결도 받아서, 해당 지역인 풍기 관아에서 면질도 하였습니다. 이에 그는 이치가 궁해져서 패소하였습니다."
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은 일이 있은 후 김칠근암행어사에게 무함하는 일을 벌였고, 춘우재 집안의 奴가 감옥에 갇히는 사태가 발생했다. 본 소지는 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예천군 관아에 올린 것이다. 노 용운은 이에 대해 적반하장 이라고 하면서, 전후에 받은 문서를 제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살펴보신 후 이 김칠근을 엄히 다스려 달라고 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예천 관아는 처결하길, 암행어사의 처결로 인해 이미 풍기군 관아에서 賭租를 받은 것이고 그의 아버지도 감옥에 갇혀 있는 상황으로 보아 김칠근이 모함한 것이라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4년 권진사댁(權進士宅) 노(奴) 용운(龍云) 소지(所志)

渚谷居權進士宅奴龍云
右謹陳所志憤痛慟由段。矣上典宅屢世先塋。在於豊基矢項山是如。墓直金七根爲名漢。掘去矣宅置標之地。而偸埋其
母葬是遣。禁養松楸。亂斫潛賣。而位土賭租。積年未捧。故呈營呈官。前後題音。不啻申嚴是加。渠所謂一百十兩之勒徵云者。
卽逐年賭條未捧之價也。已爲對卞於順興兼官。有當捧決處之題。又蒙繡衣使道題敎。頭質卞白於豊基本官。而右
漢理屈言窮。置之落科。其父方在囚禁。而有當捧決案文蹟是如。右漢終肆頑習。妄生凶計。今又構誣於繡衣使道。至有奴子捉囚
之擧。此所謂賊反荷杖者也。世豈有如許凶頑無法不測之漢乎。玆以前狀貼聯仰訴爲去乎。伏乞 洞燭敎是後。嚴治右漢構誣之罪。
以懲日後之惡習。使矣宅奴子特蒙放釋之地爲只爲。
行下向敎是事。
案前主 處分。 甲戌十一月 日。所志。

官 [署押]

旣因繡題。自
豊基官賭條
俸給。而其父況
尙拘囚。則右漢
之訴。極爲無據
向事。
十二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