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0년 유학(幼學) 이중조(李重祖) 격쟁원정(擊錚原情) 및 형조(刑曹) 초기(草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B.1790.1100-20150630.063523100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국왕/왕실-보고-초기
작성주체 이중조, 형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790
형태사항 크기: 35.8 X 89.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90년 유학(幼學) 이중조(李重祖) 격쟁원정(擊錚原情) 및 형조(刑曹) 초기(草記)
1790년 2월 12일에 유학 이중조가 증조부 이현일의 복관(復官)을 요청한 격쟁원정의 초본과 이를 접수한 형조에서 국왕에게 처결방안을 올린 초기를 베껴 놓은 기록이다. 이중조이현일이 인현왕후를 모해하려 했다는 것은 오해에서 비롯된 인식임을 피력했지만, 형조의 건의에 따라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790년에 幼學 李重祖李玄逸의 復官을 요청한 擊錚原情 초본과 이를 접수한 刑曹에서 국왕에게 처결방안을 올린 草記를 베껴 놓은 기록
1790년 2월 12일에 幼學 李重祖(1737~1806)가 증조부 李玄逸의 復官을 요청한 擊錚原情의 초본과 이를 접수한 刑曹에서 국왕에게 처결방안을 올린 草記를 베껴 놓은 기록이다. 이중조이현일의 신원을 위해 일생을 바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은 정조가 조상을 중히 여긴다는 뜻으로 내려준 것이다. 『日省錄』을 통해 이중조의 원정이 올라온 일자를 확인할 수 있다.
원정 본문에 의하면, 이현일은 숙종대 기사환국이 일어난 해(1689년)에 成均館 司業을 제수 받고 상경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는 도중에 다시 工曹參議를 제수 받았다. 그런데 광주쯤에 도착했을 때 仁顯王后가 폐위된다는 소식을 듣고 상소를 올린 바 있다. 그리고 같은 해 9월에 국왕의 求言에 응하여 상소를 올렸다. 그런데 그 상소에 인현왕후를 가리켜 ‘自絶于天’했다는 말과 ‘謹其糾禁’ 등의 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나중에 갑술환국 때(1694년)에 인현왕후가 복위하는 정국에서 安世徵으로부터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 당하였다.
이중조는 당시 이현일이 올린 상소에 인현왕후를 모해하려는 의도는 없었다는 말을 하며 복관을 요청하고 있다. 이 원정을 접수한 형조는 국왕에게 처결 방안을 담은 草記를 같은 해 2월 14일에 入啓하였다. 초기를 올린 일자는 『承政院日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형조의 초기는 이중조가 요행을 바라는 무엄한 마음을 품은 것으로 보고, 그 요청을 받아주지 말 것을 건의하고 있다. 국왕은 형조의 건의에 따라 이중조의 요청을 들어주지 않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0년 유학(幼學) 이중조(李重祖) 격쟁원정(擊錚原情) 및 형조(刑曹) 초기(草記)

幼學李重祖原情。【첨지:有寃必告盛世之所欲聞。爲祖訟寃。人情之不能已者。■■■■(含寃百年)
■■■■(幽明抱痛)。幸逢天日之明。許以鳴寃之路。而徒以跡疎分微猥越。而不 敢進。則是臣子而負殿下好生之德也】
白等。臣矣段。臣矣身。竊伏念。爲祖訟寃。人情之所不已。有懷如陳。盛無之所不禁。臣矣身曾祖臣○○以肅廟朝應旨疏中
處章之辭。獲被罪名。抱枉百年。尙未伸卞是白乎所。臣矣身。伏不勝容天極地之寃。玆敢瀝血陳情。冒萬死泣訴於
法駕之前爲白去乎。伏乞。聖明哀怜而垂察焉。伏以。臣矣身曾祖臣○○。以林下讀書之人。屢登薦剡。特被眷優。明
己巳三月。擢授成均司業。累度進懇辭。不獲已五月初赴召。在道又承工曹參議之命。到廣州。始伏聞仁顯王后不安
于位。矣祖涕泣傷痛。急起封疏。其略曰。恭惟主上殿下。再肅朝綱。一新庶政。至於萬機之暇。蚤夜孜孜。專意講學。蓋將求所
以率禮循理。爲修身正家之本。思所以明目達聰。爲納諫補過之地。臣常以爲邦域之內。將興二南之化。廊廟之上。復見都兪之盛。
臣乍到近圻。伏見近日邸報。屬因天心未豫。將有動搖中壼之意。大小臣僚以言獲罪者多。殊非愚臣平日所望於殿下者也。臣聞
配匹之際。人倫之始。風化之原。不可不愼始而敬終。脫有不幸而處人倫之變。亦且務盡道理。曲全恩義。不宜遽用威斷。使擧措失當
也。昔漢之光武行之於前。而不免賢帝之過。宋之仁宗行之於後。而終爲白玉之瑕。惟殿下念哉戒哉。云云。縣道投進。則廣州留守
李沆。以嚴旨纔頒。不敢上送是白乎等以。矣祖急於上達。依宋臣鄭俠違禁發遞故事。貽黃疏未。令曹吏徑投政院。則政
院亦以嚴旨不敢捧入。自此事已無及矣。矣祖以來歸。一言常爲痛恨是白如可。是年九月。因雷震求言。矣祖時以吏曹
參判
。遂應旨陳疏。其略曰。臣竊以爲。廢妃閔氏。不循壺彛。自絶于天。然在止曲全無遺恨。云云。上以事異古今。決難輕議。下批。
然其後果有修理別容之命。故進善臣丁時翰五條疏中所謂。頃因儒臣所達。修理別容。量給廩料之命云者。卽此也。逮至
甲戌坤聖復位之後。臺臣安世徵摘出疏中。自絶于天。謹其糾禁等語。搆成罪案。遂至被逮。矣祖供辭中略曰。矣身曾
工議赴召之日。伏聞坤宮不安之報。不勝區區驚慮之忱。敢因辭疏。瀝盡愚悃。而嚴旨纔頒。竟不得傳聞。矣身常
懷痛恨悶迫之情矣。是年九月。適因災異求言。矣身以前日痛迫之餘意。應旨投疏。有所論剝。敢望中宮殿下。移入
別宮。繼其廩料。而第以降出未久。天戒未霽。其在進言之道。不敢以無故降出爲辭。而直有所請。且當此時。中宮殿
下。有所不豫於上心。而遭意外之事。聖上卽中宮殿下之所天。故乃敢以自絶于天等語。致宛轉委曲之意。此實矣身常
痛。中宮殿下降出閭家。極愁容苦之甚。所有以小致爲安之意。而遣辭之際。不得不略存處章之意爲白乎㫆。至
於謹其糾禁云者。矣身常痛中宮殿下所處閭家荒凉。疎綻有無禁防衛護之事。以爲若於移入別宮之後。爲役
守衛之官。得有糾禁之事。則庶幾便警守稍謹。體貌稍尊。且言者。凡宮城開門。皆有糾禁戒令。故竊取其義而爲之說,
此皆無非欲致敬謹於中宮殿下居處守護之道。觀其爲役之語。則矣身本情之所在。乃可見矣。亦豈有一毫陰害之意乎,
若不察下語用意之如何。摘扶文字。勒成罪案。畢竟使尊上之意反爲侮上之歸。則豈不寃甚久乎。且使矣身少有龜藏禍
心。侵害坤宮之意。則豈敢當天心未豫之際。邦禁至嚴之日。不計一身禍福。而前後封章。爲此人所不敢言之言。而始則欲
生愼始敬終道。終乃首發別宮繼廩之請哉。區區此心。若得暴日於天地父母之前。則矣身死且不朽。云云。於是安世徵
乃反引嫌自劾曰。臣頃者啓請拿問○○。昨則鞠廳坐見其供辭。原其本情。未必有侵逼之意。議啓之際。諸議皆然。而臣亦無
異同。委官南九萬讞辭曰。其陳疏本意。欲其自私第處別宮。繼廩設衛者。似非出於謀害侵逼。【辛巳五月疏決
當在自絶于天。然在下
殿下所以處之之道。則亦宜務盡道理。曲全義然後。可以慰輿望而協群情。何則蓋彼以六禮所聘。正位中
壼。奉承至尊。殆將十年。今而有罪。雖被廢黜。至於置之閭家絶其廩食。略無毫分顧念假借之
意。則似未免過當之歸。臣請依漢武帝宋仁宗待陳郭故事。處之離宮別館。爲設防衛謹
其糾禁。量給廩料。使之得守。所預則於殿下處變之道。庶幾】
辛巳五月疏決時。

吏判李畬之言曰。○○之本情則非諶害中宮。領相崔錫鼎之言曰。李○○旣無罪狀之分明。玆以謨
害中宮爲罪。則非實本情。自上卽有敎曰。玄逸之事。非出於謀害中宮。卽許以全釋。辛卯冬。
又有復官之命。而旋被臺繳中寢。懿陵庚子。首命復官。而政院覆逆。辛丑六月。又命
給牒。而廷議繼請還收。終使苦心敢言之丹忱。百年未暴。至今抱寃。此乃矣祖前後情
實之大槪也。嗚呼。夫論人論事。必先論其時量其世【첨지:原其情考其世】而後。可以得其實。矣祖當日處變。誠有
所難處者矣。坤宮不安。而處分已定。天威未霽而禁令方嚴。欲爲盡言。則有所不敢。欲爲含
黙。則危衷益激。進言之際。乃爲是遷就不得已之辭。而原其本情。實出於盡忠尊安之道是去乙。
及其時移事遷之後。乃反以當日處變之辭律之。以平日事體。仍成罪案。尙今不伸是白乎則。玆豈非
萬萬寃痛者乎。其時臺臣重臣。旣多伸救。肅廟景廟特命原宥。前後蒙霈。天地罔極是白乎矣。
每緣廷議互發。是非拜蒙兩朝恩命。旣下旋寢泉壤之中。尙被禁錮。此又臣矣身之尤所抑鬱是白
乎旀。臣矣身又伏聞。甲戌六月。文純公臣朴世采。以故承旨李后
當坤聖出宮之日。陳疏見阻。而樹立可尙宜示崇獎。遂有
褒贈之命。矣祖當日陳疏之不徹。同於李后定而後。更有請
處。離宮之言。若援李后定之例。則雖一體褒贈【첨지:宜蒙一體之褒贈。而尙拘於罪罟之中】。未見其
過。而同情異典。彼賞此罰是白乎則。臣矣身向隅含痛。當
何如爲白底。

仍竊伏念先大王朝。臣矣身從祖臣○。以學行特授掌樂院主簿。臣矣身祖臣○。又以遺逸薦永禧殿參
。或使道臣動駕。或至殿柱書名。前後恩寵。逈出尋常是白乎所。若使臣矣身曾祖果然有罔赦之罪
可以廢錮百年者。以我先大王日月之明。豈使其矣親子侄。而收用之不以爲拘乎。【첨지:此一段盡刪如何】矣身又有一語。仰竊欲閙
天聽者。矣祖擢講學之餘。留意經濟之業。以爲洪範九疇實聖王修身經濟之大經大法。而父師八條之敎。亦立
我朝鮮萬世之聊。於是發揮敷濱闡明。其旨名之曰。洪範衍義。書凡十三卷。書成將欲上付乙覽。如宋臣
眞德秀大學衍義故事。而不幸中罹罪釁。竟未果上是白乎所。矣祖平日精力盡在此書。爲國惓惓之忱。
死而廉灰。而一受罪名。與書俱廢。方在中衍。殆將埋沒是白乎所。則矣祖經國禆世之初心。無地可暴。而九疇八
條之遺經。無路進獻。追惟先志。抱書增痛是白乎旀。矣祖前後原疏。俱在萬人公傳。若蒙
有罪無罪。其敢逃於天鑑之下是白齊。方今國有大慶。解澤旁流曠蕩之典。偏及於中外。昭雪之恩。普被
於生死幽明。威祝【擧威】踧蹶咸聳。而獨矣身曾祖數百年之寃。無路伸暴。而大霈之日。亦無擧論。使同天雷雨
不得均被。一物之徵。足■■政。矣身今日情勢也。伏乞。聖明俯垂非憐。察臣祖陳疏之本意。念徵臣鳴寃之哀
忱。特許伸雪。還給官爵【四字去之如何】。幸使泉壤朽骨與被恩光。覆盆幽寃。復見天日。千萬血祝是白只爲。
刑曹草記。刑曹啓曰。昨日還宮時。安東幼學李重祖外擊錚。故取考其原情。則其矣曾祖○○屢登薦
剡。特被眷注。明陵己巳三月擢授成均司業。五月赴召。在道又承工曹參議之命。到廣州。伏聞仁顯王后
不安于位。其矣曾祖涕泣封疏。徑授政院。則政院不能捧入。是年九月。自上求言。遂應旨疏矣。甲戌
復位之後。臺臣安世徵摘出疏中。自絶于天。謹其糾禁等語。搆成罪案。遂至被逮矣。因其供辭。安世徵
乃反引嫌自劾曰。見其供辭。原其本情。未必有侵逼之意。議啓之際。諸議皆然。而臣亦無異同。辛巳五月疏決
時。自上卽許全釋。辛卯冬。又有復官之命。而旋被臺繳中寢。庚子十二月。首命復官。而政院覆逆。辛丑
六月。又命給牒。而廷議繼請還收。泉壤之中。尙被禁錮。是其矣身之尤所抑鬱。先大王朝。其矣從祖○。以學
行特授掌樂院主簿。其矣身祖○。又以遺逸薦永禧殿參奉。前後恩寵。逈出尋常。其矣曾祖果然有罔赦之
罪。可以廢錮百年者。豈使其矣親子侄。而收用之不以爲拘乎。國有大慶。解澤旁流。特許伸雪。還
給職牒。幸使覆盆幽寃。復見天日。云云矣。
李○○之罪名何如。而今其曾孫敢生希覬之心。有此煩籲之擧。事涉無嚴。原情內事緣勿施。其猥濫之罪。自本
曹考律地處。何如。傳曰。允。
後四日。刑曹又以照律草記入啓。則又傳曰。李重祖段。纔經大霈。因宜參酌。特爲放送。

閒養燕超。體履康福否。仰慕且慮。重穋三秋所得只是咳嗽吐痰。
始知血內病根。未必不由於前日遊覽。則安知昔者吟咏又不爲自家心性
之病耶。前自悚惕下書。若有敎諭底意。實是仰感不遺之盛念也。
病者。自知其病。而望藥於門庭。故亦是應之耶。老先生嘗謂佔
畢齋非學文中人先輩似無偏係之失。而先生猶且警之。況後生無一分
學文氣味。專尙華藻。不幾於探湯而忘返耶。此重穋之所深惕也。倘得頂
門一針。打破痼盲。則從此至事。庶爲門下無病之人。重穋何人。敢望眷遇之
及此也。倒達悃愊言不知裁竢罪竢罪。古詩一首將欲以所出示者治之。故敢此呈上。日後進
拜時。幸卒垂敎。伏望。伏枕呼倩。惟冀
履用瑞吉。伏惟
奉讀。小山丈書。
丈人遺我以蘭蕙。爛余佩首襲菽菲。丈人贈我以杞菊。樹余畦首療
我飢。短章輸上 方羞涉長跪惠書。其意徵風化月露。徒爲爾古人
佳處。自天機如信無味中有味。策余駑首。倘庶幾
軒屛之懷。而豈若身致座下從容數日之爲快也。涉秋徂冬。信問
向因三江便。伏承八月二十八日下覆書。奉讀以還。差可少慰久離
下察。甲辰十月初二日。病生。李重穋。再拜謹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