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0년 이영운(李永運)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10.4717-20140630.06352570071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영운, 이병탁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10
형태사항 크기: 19.9 X 3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0년 이영운(李永運) 서간(書簡)
1810년 9월 6일에 재종제인 이영운이 묘소를 쓰는 일과 관련하여 이병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숙소에서 나눴던 대화로는 회포를 다하지 못해 마음이 시원스럽지 못했다고 하면서 이병탁이 밤사이 잘 버티어 냈냐고 안부를 물었다. 이병탁과 지척 거리에 있건만 자신의 집을 방문하게 하지도 못하고 함께 자지도 못하였으니 불만족스럽다고 하였다. 묘소를 쓰는 일은 생각했던 것과 차이가 있었지만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행스럽다고 하면서 장례를 심사숙고하여 처리하라고 당부하였다. 장례와 관련하여 용궁 수령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서 보내주면 자신이 용궁에 도착한 뒤 보내겠다고 하였으며 자신이 돌아오기 전에 알려줘야 할 일은 선득에게 통보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끝으로, 이영운이 책응(責應)해야 하는 바는 이병탁이 말했던 내용대로 전력으로 도모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10년 9월 6일, 再從弟인 俛齋 李永運이 묘소를 쓰는 일과 관련하여 李秉鐸에게 보낸 편지
1810년 9월 6일에 再從弟인 俛齋 李永運(1766~1841)이 묘소를 쓰는 일과 관련하여 李秉鐸(1760~1832)에게 보낸 편지이다.
한밤중에 숙소에서 나눴던 대화는 밤을 지새우도록 이어졌지만 회포를 다하지 못해 마음이 시원스럽지 못했다고 하였다. 이어 객지에서 지내고 있는 李秉鐸이 밤사이 잘 버티어냈느냐며 안부를 물었다. 李秉鐸이 묵고 있는 여관이 지척 거리에 있건만 李秉鐸으로 하여금 자신의 집을 방문하게 하지도 못하고 또 李秉鐸과 함께 잠을 자지도 못하였으니 이루 다 말하지 못할 정도로 불만족스럽다고 하였다. 묘소를 쓰는 일은, 어제 만남에서 들었던 내용이 자신이 생각했던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고 하면서 거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극히 다행스럽다고 하였다. 그러나 장례는 大事이니 만큼 심사숙고하여 처리하라고 당부하였다. 장례와 관련하여 龍宮 수령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서 보내 주면 자신이 龍宮에 도착한 뒤에 보내겠다고 하였으며, 자신이 돌아오기 전에 알려 줘야 할 일이 있으면 先得에게 통보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끝으로, 李永運이 責應해야 하는 바는 어제 만났을 때 李秉鐸이 말했던 내용대로 전력으로 도모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俛齋 李永運(李秉運)은 大山 李象靖의 손자이고 李秉鐸은 小山 李光靖의 손자로서 모두 李泰和의 증손이므로, 촌수로는 6촌간이 된다. 본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일은 이해 6월 19일에 사망한 李秉鐸의 부친인 俛庵 李㙖의 묘소를 쓰는 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0년 이영운(李永運) 서간(書簡)

半夜旅次之晤。經宵猶悲耿。夜來
客候支保否。咫尺旅舍。旣不能使
樸馬枉屈。又不能與之聯枕。悲缺
如何勝言耶。山事。昨對所聞。稍與
坐料有異。庶有可望。極爲可幸。但
事不可不懼。心不可不小。以武侯之神
變。而猶自言平生未嘗弄險。以聖
人之無不知無不能。而尙曰只是心細。
則況送終大事。尤不可不周思審
處。千萬審一審。如何如何。抵龍倅
書。書送到彼後入送。弟未還之前。如
有事機之不得不相通者。以弟書
或愼君書送。通于先得處爲好
耳。自此責應之道。當依昨對時
所敎。極力圖之計耳。餘。擾不備
儀。
庚午九月初六日。再從弟。永運。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