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8년 이영은(李永殷) 외 1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08.0000-20140630.06352570087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영은, 이영익, 이우
작성시기 1808
형태사항 크기: 25.9 X 41.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8년 이영은(李永殷) 외 1인 서간(書簡)
1808년 12월 11일에 이영은이영익이 의심나는 경전 구절의 뜻을 묻기 위해 족숙인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혈구(絜矩)’에 대해서 가르쳐 주신 뜻을 아직 이해하지 못한 점이 있어서 다시 묻는다고 하였다. 또한 말미에 덧붙인 몇 단락은 더욱 자신들이 이해할 수 없는 것인데, 의심을 쌓아두고 있을 수 없기에 각자가 의심나는 부분을 기록하였으니 가르침을 달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08년 12월 11일, 雪竹 李永殷李永翼이 의심나는 경전 구절의 뜻을 여쭙기 위해 族叔인 俛庵 李㙖에게 보낸 편지
1808년 12월 11일에 雪竹 李永殷(1782~1860)과 李永翼(1786~1822)이 의심나는 경전 구절의 뜻을 여쭙기 위해 族叔인 俛庵 李㙖(1739~1810)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신들이 늘 서신으로 李㙖의 가르침을 받고 있으니 우러러 사모하고 기쁜 마음으로 순종하는 것이 한층 간절해졌으나, 다만 자신들이 서로 警策하여 보살핌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으니 그저 한탄하는 마음만 간절하다고 하였다. 別紙로 내려주신 가르침은 진정 이른바 환해져서 몽매함을 깨친 격이라고 하면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외우매 직접 뵙고 받는 가르침을 대신하기에 충분하다고 하였다. 이어, 絜矩에 대해서 가르쳐 주신 뜻을 아직 이해하지 못한 점이 있어서 다시 여쭙는다고 하였다. 또한 말미에 덧붙인 몇 단락은 더욱 자신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닌데 의심을 쌓아두고 있을 수 없기에 각자가 의심나는 부분을 기록하였으니 가르침을 달라고 하였다. 끝으로, 손자가 계속 평안하게 지내고 있으며 栗里의 어떤 이가 앓고 있는 병세는 어떠하냐며 안부를 물었다. 이들이 작성한 구체적인 問目은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8년 이영은(李永殷) 외 1인 서간(書簡)

叔主前 上書。 謹封。
乍闕候儀。第積慕仰。伏未審日來
道體起居候一向康衛否。寒齋靜寂。
燕㶊日加。隅侍問難。此其暇也。每承
書誨。所以景慕而悅服者。尤有倍蓰
焉者。而但未能私相警策。仰副
下眷。只切歎懊而已。奈何。下賜別紙。
眞所謂昭然若發矇者。藏誦久之。足
替面誨之諄諄也。絜矩條。有未達
敎意者。玆以更稟。尾附數段。尤非
蒙學之可窺。而亦不敢蓄疑。各自錄上。
伏望
下諒而明敎之。如何。彧君侍學連穩。
所患。更何如。竝切馳溸。不備。伏惟
下鑑。上書。
戊辰十二月十一日。三從侄。永殷永翼。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