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6년 김희욱(金煕郁)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06.4717-20140630.06352570084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희욱, 이우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06
형태사항 크기: 21.5 X 33.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6년 김희욱(金煕郁) 서간(書簡)
1806년 10월 9일, 김희욱이 방문해 달라고 청하기 위해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우가 보내준 편지를 받고 이우의 안부를 알게 되어 마음이 놓인다고 하면서 자신의 안부도 전하였다. 이어 이우의 여정이 지체된 것은 추운 날씨 때문만 아니라 자신이 모시고 돌아오지 않았기에 불민한 죄가 된다고 하면서 이우가 너그럽게 용서해 주더라도 깊이 겸탄스럽다고 하였다. 종과 말을 보내니 자신의 집에 꼭 왕림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06년 10월 9일, 金煕郁이 방문해 달라고 청하기 위해 俛庵 李㙖에게 보낸 편지
1806년 10월 9일, 金煕郁이 방문해 달라고 청하기 위해 俛庵 李㙖(1739~1810)에게 보낸 편지이다.
어제 李㙖가 보내준 편지를 받고서 客地에 머물고 있는 李㙖가 건승하다는 것을 알게 되니 매우 마음이 놓였다고 하였다. 金煕郁 자신은 어버이를 모시면서 예전처럼 지내고 있다고 하였다. 이어, 李㙖가 중간에 여정이 지체되었던 것은 비록 비가 내리고 날씨가 추웠기 때문이지만 자신이 뒤 따라가 모시고 돌아오지 않았던 것은 크게 불민한 죄가 된다고 하면서, 李㙖가 너그럽게 용서해 주더라도 스스로 깊이 歉歎스럽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종과 말을 보내니 자신의 집에 꼭 왕림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발신자인 金煕郁의 딸인 義城金氏가 李㙖의 손자인 李秀賢과 혼인하였으므로, 金煕郁李㙖는 서로 사돈지간이 된다. 편지의 李參奉은 李㙖를 지칭하는 말인데, 李㙖는 正祖代에 思悼世子 伸寃 上疏의 疏頭로 활약한 일을 계기로 懿陵參奉에 임명된 바 있다. 또한 바로 이 사건으로 인해 이해 1월에 康津縣 古今島로 유배를 갔다가 4월에 방면된 바 있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6년 김희욱(金煕郁) 서간(書簡)

李參奉 行軒 回納。 謹封。
昨伏承
下問書。謹審伊間
客中氣候保重康衛。伏慰
區區之忱。査下生。侍狀依昨。餘無足奉
聞者。
御者之滯阻中間。雖是雨寒之
致。而生之不得躡後奉還。大爲
不敏之罪耳。雖賜
寬恕。而自家歉歎深矣。玆送
奴馬。
來臨鄙所。伏望。餘。不備。伏惟。
丙寅十月初九日。査下生。金熙郁。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