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6년 김상섭(金相燮)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06.0000-20140630.06352570077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상섭, 이우
작성시기 1806
형태사항 크기: 34.9 X 41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6년 김상섭(金相燮) 서간(書簡)
1806년 5월 9일에 김상섭이 해배와 관련하여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유배지가 아주 멀고 자연적 환경이 좋지 못한 관계로 이우에 대해 염려가 깊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지금 유배를 다녀온 이우의 건강상태가 평소와 다름없고, 반 달 동안이나 말을 타고 먼 길을 다녀온 뒤에도 건강이 좋은 것은 하늘을 지탱하는 의리가 이우의 원기를 보호했기 때문에 유배지의 좋지 못한 장기가 그를 해치지 못한 것이라고 하였다. 끝으로, 이천 령(伊川令)이 아들을 잃은 데 대해 차마 할 말이 없다고 하며, 이웃마을에 살고 있는 李㙖는 다른 사람보다 더 애통한 심정일 것이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06년 5월 9일, 金相燮이 解配와 관련하여 俛庵 李㙖에게 보낸 편지
1806년 5월 9일에 金相燮이 解配와 관련하여 俛庵 李㙖(1739~1810)에게 보낸 편지이다.
해와 별이 높이 비추어서 窩窟이 자연 드러날 것이어서 李㙖가 유배를 떠났던 것은 厄運이 아니고 유배에서 돌아오는 것은 常例이니, 이러한 예사로운 禍福에 대해 기뻐하거나 슬퍼할 필요는 없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유배지가 아주 멀고 자연적 환경이 좋지 못해서 늙은 李㙖가 힘들게 왕래하고 어렵게 조섭할 것에 대해 염려가 깊었다고 하였다. 그런데 지금 유배를 다녀온 李㙖의 건강상태가 평소보다 못하지 않고 반 달 동안이나 말을 타고 먼 길을 다녀온 뒤에도 起居와 酬接이 좋은 것은 필시 하늘을 지탱하는 義理가 李㙖의 元氣를 扶護하여 유배지의 좋지 못한 瘴氣도 감히 李㙖의 몸에 해를 끼치지 못하였던 것이니, 그지없이 위안이 되고 기쁘다고 하였다. 더구나 평소에는 보지 못했던 바다의 장관을 상쾌하게 구경하는 등 몇 달 사이에 한 번 유배를 가서 얻은 성과가 가슴을 트이게 하는 일들이었으니, 이는 살기 좋은 곳으로 유배를 보낸 격이었다고 하였다. 金相燮 자신은 窮廬에 칩거하고 있고 나가자니 나귀가 없어서 李㙖가 머나먼 길을 떠나고 또 돌아왔을 때에 모두 다른 사람들을 따라 직접 가서 患難을 함께 하지 못하였으니, 그저 지극히 부끄러운 마음을 가눌 수 없다고 하였다. 끝으로, 伊川 令(伊川 수령을 지낸 바 있는 金㙆으로 보임)이 아들을 잃은 데 대해 차마 할 말이 없다고 하면서 이웃마을에 살고 있는 李㙖는 다른 사람보다 더 애통한 심정일 것이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6년 김상섭(金相燮) 서간(書簡)

謹拜上狀。
李參奉 靜案下。 謹封。
日星搴開。窩窟自露。執事今
行去。非厄也。還則例也。不必以尋常禍福。
有所欣戚。而第念嶺海迢迢。風土不佳。
老人往來之勞。將攝之艱。深庸不瑕之
慮矣。卽今涪江髭髮。無減平昔。而亦

起居酬接於半月鞍馬之餘。必是撑天
義理。扶護元氣。而彼南鄕瘴癘之惡。不
敢以害之。區區慰賀。如何可旣。且想凌駕。
萬頃波濤。登臨縹緲雲島。快覩平日所
不覩處。而暢盡拂鬱胸懷。佚見申島怪鬼。
不能遁形於白日之下。數月間。一行所得。無
非快豁事。是所謂善地恩譴也。弟。蟄
伏窮廬。出無驢馬。千里往還。俱未及隨人
趨。敍同人患難。視若秦瘠。身於平素。祗
不勝愧汗之至。何敢望諒恕▣▣。
伊川令喪明之痛。
尙忍言哉。千里扶
櫬。情地可想。而不但
死者爲可哀而已。想
左右居在隣里。悼惜
之懷。有切於他人也。餘
萬。非書可旣。不備。伏惟
下照。謹拜上狀。
丙寅五月初九日。弟。金相燮。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