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6년 김하범(金夏範)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06.0000-20140630.06352570077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하범, 이우
작성시기 1806
형태사항 크기: 32.5 X 47.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6년 김하범(金夏範) 서간(書簡)
1806년 6월 6일에 김하범이 해배 뒤의 안부를 교환하기 위해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우에게 사면령이 내려져 금방 돌아오게 된 일은 참으로 영남 인사들이 함께 기뻐하는 일이라고 하고, 또 바다의 장기를 겪었음에도 몸 상태가 좋으니 더 말할 나위가 없다고 하였다. 이어 혹심한 더위에 이우 및 유배 내내 그를 모셨던 아들 이병탁이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끝으로, 이우가 해배되었는데, 찾아가 인사를 드리지 못했다고 미안하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06년 6월 6일, 金夏範이 解配 뒤의 안부를 교환하기 위해 俛庵 李㙖에게 보낸 편지
1806년 6월 6일에 金夏範이 解配 뒤의 안부를 교환하기 위해 俛庵 李㙖(1739~1810)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李㙖에게 사면령이 특별히 내려져서 금방 돌아오게 된 일은 참으로 嶺南 人士들이 함께 기뻐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더구나 바다의 瘴氣를 겪었음에도 몸 상태가 좋으니 더 말할 나위가 없다고 하였다. 지난번에는 행차한 李㙖가 素履 兄이 있는 곳에 들렀다는 소식을 듣고서 族兄과 같이 그날로 달려갔더니 李㙖는 이미 멀리 떠나고 난 뒤였다고 하였다. 이어 혹심한 더위에 李㙖 및 유배 내내 그를 모셨던 아들 李秉鐸이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근래 더위를 심하게 먹어서 병으로 신음하며 날을 보내고 있다고 하였다. 從孫女의 宿病이 이미 쾌차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하면서, 이는 참으로 돌봐주신 덕택이라고 치하하였다. 李㙖의 손자가 공부를 잘하고 있는지 묻고, 그 標致가 크게 범상치 않으니 잘 길러내면 좋은 그릇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끝으로, 李㙖가 解配되어 돌아오던 날에 길에서 영접하지 못하였으므로 뒤늦게라도 찾아가 인사를 드리고자 하였으나 얽매인 일이 많아서 정성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하면서 송구스런 마음을 가눌 수 없다고 하였다.
참고로, 李㙖는 正祖代에 思悼世子 伸寃 上疏의 疏頭로 활약한 일을 계기로 懿陵參奉에 임명된 바 있고 또 바로 이 사건으로 인해 이해 1월에 康津縣 古今島로 유배를 갔다가 4월에 방면된 바 있다. 이는 正祖 사후 貞純王后 주도의 老論 一黨 체제가 확립되면서 英祖代의 壬午義理에 반하는 정치적 활동을 다시금 탄압하였던 정국과 관련된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6년 김하범(金夏範) 서간(書簡)

天日照臨。運陽復。宥命特下。
浩然旋駕。實是嶠南人士之所共忻抃。
而況復備經鯨海瘴毒之氣。髭髮
猶勝昔者乎。前者轉聞
行駕。歷臨素履兄所。與族兄卽日馳
進。則駕啓已遠矣。咫尺相違。竟失一
候。瞻望行塵。只切悵仰。庚熱酷甚。
伏未審
燕養動止履玆康衛。令胤兄千里
窮島。侍氈焦遑之餘。能得韻致淸
和否。慕仰區區不任鄙忱。侍生。近爲炎熱所
偏。吟病度日。苦悶何喩。從孫女宿祟。已
得痊可云。實荷
尊章眷庇之德。而以其無親庭父母之故。
一送之後。存訊之道。一向稀闊。爲其至親者。
亦難免泛歇之責。爲之憐歎無已。令孫
郞課學何如。見其標致。大非凡調。刻意
陶成。則可做好器。未知果能省惕否。旣不
得迎候路左。擬爲進拜
軒屛。以謝不敏之罪。
退以與令胤曁函
前僉位。握敍多少
抃賀之意。而自多纏
掣。訖未遂忱。不勝
悚恨之懷。不備。伏

下察。謹再拜。上候書。
丙寅六月初六日。侍生。金夏範。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