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6년 윤성헌(尹成憲)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06.0000-20140630.06352570075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윤성헌, 이병탁
작성시기 1806
형태사항 크기: 28.9 X 3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06년 윤성헌(尹成憲) 서간(書簡)
1806년 2월 17일에 윤성헌이우의 유배와 관련하여 사위인 이병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윤성헌은 사돈인 이우의 유배 소식을 늦게 듣는 바람에 전송하지 못해 이우가 괴이하게 여겼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중도에 사고는 나지 않았는지 잘 도착했는지 등을 묻고, 이병탁이 아버지를 잘 모시고 무탈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한편, 공론이 제기되어 조정에 상소한다고 하니, 곧 사면령이 내려질 것이라고 하며, 이 소식을 가지고 사돈께 위로해 드리라고 당부하였다. 추신에서 자신의 아들이 편지를 하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였으며, 돈 2냥을 보낸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806년 2월 17일, 尹成憲이 俛庵 李㙖의 유배와 관련하여 사위인 懼翁 李秉鐸에게 보낸 편지
1806년 2월 17일에 尹成憲이 俛庵 李㙖의 유배와 관련하여 사위인 懼翁 李秉鐸(1760~1832)에게 보낸 편지이다.
尹成憲은 사돈인 李㙖가 유배를 가게 되었다는 소식을 제일 늦게 듣는 바람에 古今島로 출발하는 날에 만나서 전별하지 못했다고 하면서, 李㙖 측에서 괴이하게 여겼을 것이라고 하였다. 날씨가 순조롭지 못한 상황에서 먼 길을 가는 것에 어려움이 많았을 줄로 생각된다고 하면서, 중도에 사고가 나지 않았으며 李㙖의 기력도 손상되지 않고 잘 도착하였는지 물었다. 尹成憲李秉鐸이 아들 걱정을 하지 말고 몸조심 잘하여 李㙖를 모시고 있는 상황에서 병이 나지 않는 것이 자신의 바람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바다의 瘴氣가 건강을 해칠까 우려되어 걱정스런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그는 公論이 제기되어 장차 조정에 上疏할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다고 하면서, 머지않아 사면령이 내려질 것이니 이런 점을 가지고 사돈께 위로해 드리라고 당부하였다. 추신에서는, 자신의 아들도 마땅히 편지를 써서 보내야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하면서 李秉鐸이 양해해 달라고 하였으며 돈 2냥을 부쳐 보낸다고 하였다.
참고로, 李㙖는 正祖代에 思悼世子 伸寃 上疏의 疏頭로 활약한 일을 계기로 懿陵參奉에 임명된 바 있고 또 바로 이 사건으로 인해 이해 1월에 康津縣 古今島로 유배를 갔다가 4월에 방면된 바 있다. 이는 正祖 사후 貞純王后 주도의 老論 一黨 체제가 확립되면서 英祖代의 壬午義理에 반하는 정치적 활동을 다시금 탄압하였던 정국과 관련된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06년 윤성헌(尹成憲) 서간(書簡)

自古无妄之災。容或有之。而不意君
家罹此厄會。驚心何量。南下聲息。
又在最後。未得奉舒於尊旆登程
之日。非但私情悵缺。必賜怪訝多
矣。自訟無已。發程後。日氣乖
和。泥潦少乾。千里行色。想多艱
關。幸免中途顚踣之患。而
春府氣力。其無損憊得抵耶。侍
奉情地。憫迫可以想得。而末由追慰。
徒費遠慮。雖陷情薄之科。而勢
也奈何。本所姑無恙云。而女阿驚
魂未定。憂慮千里。外舅與夫之情。何
可形喩。而孫兒弱年情境。尤不可
盡道。幸賴左右之調護。君勿
以爲慮。珍重自愛。免恙於
省侍之下。是區區之望。而蜒雨瘴
霧。恐多侵鑠之害。不勝不瑕之慮耳。
聞公論不泯。疏儀。
將擧義理。必不耗
斁。天日亦將昭之
當否塞之運。而有
亨通之期。此是互
環之理。惟以是
奉慰耳。翁。姑
免身恙。而擾惱弸
中情理。又從以莫
伸。更無向君言
者。餘懷。非筆舌可
旣。不具式。
丙寅二月十七日。翁。成憲。欠。

家兒當修書而未
果。可謂情理蔑如。
君可恕量耶。
靑銅二兩付送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