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7년 강필장(姜必章)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797.4725-20140630.06352570074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강필장, 이우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작성시기 1797
형태사항 크기: 29.2 X 36.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97년 강필장(姜必章) 서간(書簡)
1797년 4월 17일에 강필장이 근황을 교환하기 위해 사돈인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신의 어머니는 평안하게 지내고 있지만 큰아들의 병이 점점 심각하다고 하고, 또 이것이 마음의 병이 되어 계속 고통스럽다고 하였다. 석원 모자는 무병하냐고 묻고, 어린 아이의 모습이 잊히지 않는다고 하였다. 끝으로, 류규가 귀가한 지 여러 달이 되었는데. 아직 만나지 못하여 서글프고 안타깝다고 하였다. 그래서 여름에 한 번 보고자 하는데, 노년에 기필할 수 없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효심

상세정보

1797년 4월 17일, 姜必章이 근황을 교환하기 위해 사돈인 俛庵 李㙖에게 보낸 편지
1797년 4월 17일에 姜必章(1722~1798)이 근황을 교환하기 위해 사돈인 俛庵 李㙖(1739~1810)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봄이 가고 여름이 되도록 서로 격조하였으니 늘그막에 상대를 그리는 생각이 어찌 간절해지지 않았겠느냐고 하였다. 이어, 상대와 상대 아들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모친께서 그럭저럭 평안하게 지내고 계시지만 큰아들의 병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듯하기에 자연히 애타는 마음이 心病을 이루어 계속해서 고통을 받고 있으니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고민스럽다고 하였다. 錫元 母子는 무병하냐고 묻고, 어린 아이의 모습이 눈에 삼삼하여 잊히지 않는다고 하였다. 끝으로, 臨汝齋 柳慶山 이 귀가한 지 이미 여러 달이 되었는데 아직까지 만나지 못하였기에 서글프고 안타깝다고 하였다. 그래서 여름에 한 번 가서 보고자 하는데, 노년에 기필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姜必章은 俛庵 李㙖의 막내사위인 姜書欽의 조부이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7년 강필장(姜必章) 서간(書簡)

蘇湖 靜案 入納。
功城 姜弟 候狀。 省式謹封。
省式。春盡夏屆。音信相阻。老
境懷想。安得不切。謹問辰下。
靜中韻況萬順否。胤哥侍
餘做履如何。昻溸不任。弟。
慈候粗寧。第伯兒病。亦似
漸深。自然焦煎。亦成心病。身
家連事呻吟。苦悶不可言。
母子能無病否。幼兒面目。森
在眼前。不得忘。是亦悶事。
慶山
。歸家已累朔。尙無逢
場。悵歎。擬夏間。一往見之。
老者事。何可必耶。餘。
伏枕覓禿胡
草。不備。伏惟
兄下察。謹候狀。
丁巳四月十七日。査弟。必章。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