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7년 이광정(李光靖)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757.4717-20140630.06352570061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광정, 이우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57
형태사항 크기: 17.2 X 45.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57년 이광정(李光靖) 서간(書簡)
1757년 11월 15일에 이광정이 공부와 관련하여 주의할 사항을 상세하게 전달하기 아들인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아들이 잘 지낸다는 소식을 들어 다행스럽고 조용한 산사에서 친구들과 놀지 말고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당부하였다. 이어서 11일에 상주의 숙부가 돌아가신 사실을 전하고 굳이 내려올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인호

상세정보

1757년 11월 15일에 小山 李光靖이 공부와 관련하여 주의할 사항을 상세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찰에 공부하러 간 아들인 俛庵 李㙖에게 보낸 편지
1757년 11월 15일에 小山 李光靖(1714~1789)이 공부와 관련하여 주의할 사항을 상세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찰에 공부하러 간 아들인 俛庵 李㙖(1739~1810)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李㙖가 간신히 山寺에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마음이 놓였으나 그 뒤의 소식을 알지 못하여 답답했다고 하였다. 그런데 한 통의 편지가 仙原 댁으로부터 왔으니 펼쳐서 읽고 십분 위안이 되었고 李㙖가 그럭저럭 지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다만 독서를 해도 맛이 없다고 한 것은 마음이 靜一하여 침잠하지 못한 탓이라고 하였다. 이미 조용한 山寺에 도착하였으니 그 많은 쓸데없는 생각은 버리고 마음과 뜻을 다하기를 聖賢을 대하여 좋은 말씀을 듣는 듯이 한다면 의사가 자연 專一해지고 義理가 자연 명쾌해질 것이라고 하였다. 山寺에 옴이 만연해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하면서, 자세히 살펴서 옮지 않게 하라고 하였다. 동료들과 서로 권면하고 농담하지 말라고 주의시켰다. 『詩經』에 "붕우가 검속하되 위의를 갖추어 검속하도다.[朋友攸攝 攝以威儀]" 하였으니, 이 말을 명심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5홉 분량의 밥을 먹는 것은 장기적인 방법이 아닌 듯 하다고 하면서, 7홉 분량의 밥을 먹어서 배고플 때가 없게 하라고 하였다. 李光靖 자신은 일전에 億谷에서 『朱子書節要』를 빌리고 龜尾에서 『朱子大全』을 빌려 조용히 읽어서 맛을 느꼈으나 일이 생겨서 금방 독서하는 맛을 잃게 되었다고 하였다. 어제 蘇湖의 편지가 왔는데 尙州의 從叔께서 11일 戌時에 별세하셨다고 하니, 통곡했다고 하였다. 李㙖는 객지에서 부고를 들었으므로 내려올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武致의 병든 손이 낫지 않아서 땔감을 확보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고 하면서, 걱정스런 마음을 전하였다. 李㙖가 있는 그곳의 景物이 어떠한지 묻고, 조용한 곳에 있더라도 마음이 복잡하여 專一하지 못하면 종신토록 山寺에 있다 하더라도 소용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論語』의 正文은 외우고 복습하라고 하였고, 그 集註도 熟讀하고 곱씹으라고 당부하였다. 의미를 생각하지 않고 독서하면 수없이 읽더라도 소용이 없음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李㙖가 儒家 文字에 완전히 어두우니 『心經』이나 朱書를 보도록 하라고 하였다. 추신에서는, 『心經』을 가지고 갔느냐고 묻고 못 찾겠다고 하면서 의아하다고 하였으며 식량과 반찬 등의 물품을 보내는 데 대해서 언급하였다.
본 편지는 李光靖의 문집인 『小山集』 卷7에 「寄兒」라는 제목으로 편집되어 실려 있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7년 이광정(李光靖) 서간(書簡)

書。
孤山靜界。 封。
聞去時失路狼狽。俱僅僅得達。
深。以未得向後消息爲鬱。一
書。自仙原宅來。披慰十分。仍知
客況姑依。但讀書無味。此心不
靜一沈潛之致。旣到靜界。除却
許多閑思想。專心致志。如對聖賢
聽好話。則意思自然專一。義理自然
昭晣矣。聞寺中疥瘡多有之。十分詳
察。勿使混犯。至可。群居相勉勵。勿
諧謔。爲可。詩。朋友攸攝。攝以威儀。此言
銘心也。食五合。恐非長久之道。不如食
七合。無飢餒時。可也。此中。
母主氣候平安。兒少亦無事。吾亦日
前借朱書節要於億谷。借大全於龜尾
閉門讀之。深覺有味。事務來逼。旋復
失之。奈何奈何。昨日蘇湖書來。尙州
從叔主。以十一日戌時別世。痛哭痛哭。遠地聞
訃。尤可悲痛也。汝聞訃於客地。不可哭訣。
又不必下來也。吳山欲送人及禫事。而
武致病指未瘳。樵政極難。以是爲悶。
彼中景物何如。大抵靜界不易得。若在
靜界。心緖閙膠。不能專一。是終身在寺無益也。
論語正文。佩詠反復。意味自長。今曰無好
意思。程夫子所謂未讀旣讀。俱是這樣人者。可懼可歎。集註着語精切。一字不可
移易。熟讀之。益見意味。幸於無意味中咀嚼出意味。可也。汝讀書。每悤悤。只從
頭讀過。全不思意味。此病不除。雖讀得千
遍。何益哉。老婆心切。縷縷及此。可諒之耶。食
後小歇時。看何等書耶。汝於儒家文字全
昧。心經或朱書看繹。可也。餘。不一。
丁丑十一月十五日。

心經子當冊持去耶。索之不得。可怪。
今日忍復見之。追思尤割腸耳。
粮二十五斗。饌各小送之。錢五錢送之。吾
亦失履。堅織二件。
決價送之。可否間。問僧爲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