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2년 류생원하계댁(柳生員下溪宅) 산지매매명문(山地賣買明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E.1862.4719-20140630.01032510000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작성주체 경첨, 덕문, 이숭, 류생원 계하댁
작성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작성시기 1862
형태사항 크기: 25.1 X 31.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2년 류생원하계댁(柳生員下溪宅) 산지매매명문(山地賣買明文)
1862년(철종 13) 11월 2일, 황산사의 주승 경첨이 류생원 하계댁에 산지를 팔면서 작성해준 매매명문이다. 황산사 앞에 있는 대평산의 소나무를 본 댁에서 17냥으로 사갔고, 절에서는 이를 불전을 공양하는데 썼다. 그리고 다음의 산지도 함께 넘기도록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62년(철종 13) 11월 2일, 黃山寺의 主僧 敬添이 柳生員下溪宅에 山地를 팔면서 작성해준 매매명문.
1862년(철종 13) 11월 2일, 黃山寺의 主僧 敬添이 柳生員下溪宅에 山地를 팔면서 작성해준 매매명문이다. 본 매매명문은 전주류씨 수정재 가문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문서이다.
문서의 발급 시기는 ‘동치 2년 임술 11월 초2일’로 표기되어 있다. 매매명문은 중국 연호를 이용하여 연도를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동치 2년(1863)은 계해년으로, 연호 또는 간지 하나는 잘못된 것이다. 당시에 일상적 생활에서는 연호보다는 간지를 사용하여 연대를 표현했으므로, 연호를 잘못 인식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따라서 임술년1862년으로 파악된다.
문서의 수취자 즉 토지를 사는 주체는 문서의 첫 행에 ‘柳生員下溪宅’으로, 문서의 발급자 즉 토지를 파는 주체는 문서의 본문 좌측 하단 첫 행에 ‘黃山寺 主僧 敬添’ 그리고 같은 절의 승려 ‘德文’, ‘李崇’도 표기되어 있다. 세 명의 승려는 수결 대신 동그라미를 그렸다.
黃山寺 앞에 있는 大坪山의 松楸를 본 宅에서 17냥으로 사갔고, 절에서는 이를 佛殿을 供養하는데 썼다. 그리고 다음의 산지도 함께 넘기도록 하고 있다. 즉 柳氏宅의 산소 뒤편 및 오른쪽의 두 산록과 鳴鳳菴의 골짜기에서 大坪의 산소로 올라가는 좌우편이 해당된다.
전주류씨 가문에서 大坪山에 산소를 마련하고 黃山寺 부근의 산지를 점유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매매명문의 말미에는 해당거래와 관련된 사람들이 차후에 본 거래에 대하여 이의나 분쟁을 제기할 경우를 대비하는 ‘追奪擔保文言’을 적는다. 이 문서는 ‘나중에 잡담이 있으면 이 문서로 관에 고하여 변정할 것’이라고 표기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2년 류생원하계댁(柳生員下溪宅) 산지매매명문(山地賣買明文)

同治二年壬戌十一月初二日。柳生員下溪宅前
明文。
右明文爲。本寺前山大坪松楸。價十七兩。自
宅下擔當出買。爲佛殿供養時。所
入是遣。宅下山所局內。自山所後。及右二
麓果。鳴鳳菴一谷。以至于大坪山所嶝
左右。永永爲許納於宅下之意。成此
文記。日後。如有雜談。以此文記。告官
卞正事。
黃山寺。主僧。敬添。[手決]
德文。[手決]
李崇。[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