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31년 김형칠(金衡七)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931.4717-20130630.01032570038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형칠, 류호집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31
형태사항 크기: 25.6 X 54.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31년 김형칠(金衡七) 서간(書簡)
1931년 4월 2일에 김형칠이 혼인 날짜를 잡아 통보해 주겠다는 뜻을 알리기 위해 사돈인 류호집에게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 아들인 류식훈서울에 가는 길에 들렀을 때 이맘때쯤 집으로 돌아간다고 했는데, 과연 집으로 돌아왔느냐고 물었다. 상대방 아들의 재주로 굳건한 뜻을 가지면 무슨 일이든 해내겠지만, 뜻이 굳건하지 않아서 일을 이루지 못하고 세월만 보낼까 걱정된다고 하였다. 이어서 조만간 점성가에게 날짜를 물어 통보할 계획이라고 하고, 방문해달라는 요청에 따르고 싶지만 일꾼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하였다. 모내기가 끝나면 부친인 류연린과 함께 만우정에서 만나고 싶다고 하면서, 부친은 그때쯤 틈을 낼 수 있는지 물었다.
서진영

상세정보

1931년 4월 2일, 金衡七이 혼인 날짜를 잡아 통보해 주겠다는 뜻을 알리기 위해 사돈인 柳顥集에게 보낸 편지
1931년 4월 2일에 天游 金衡七(1874~1959)이 조만간 혼인 날짜를 잡아 통보해 주겠다는 뜻을 알리기 위해 사돈인 半啞 柳顥集(1887~1945)에게 보낸 편지이다.
상대 아들 七休堂 柳寔勳서울로 떠날 때에 잠시 자신을 방문하였는데 어버이를 뵈러 집으로 돌아가는 때를 물었더니 이맘때쯤이라고 대답하였다고 하면서, 과연 그가 자신의 말대로 집으로 돌아왔느냐고 물었다. 金衡七은 아드님의 재주로 굳건한 뜻을 가지면 무슨 일이든지 해내기 어렵겠느냐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뜻이 굳건하지 않아서 점점 일은 이루지 못하고 세월만 보내게 되지는 않을까 걱정된다고 하였다. 이어, 조만간 星曆家에게 가서 날짜를 물어 정하여 통보해 드릴 계획이라고 하였다. 또한 방문해달라는 요청에 대해 기꺼이 따르고 싶지만 일꾼이 부족한 상황에서 모내기가 큰일이라고 하면서, 모내기가 끝나면 부친인 奮山 柳淵鱗과 함께 晩愚亭에서 한 번 만나고 싶다고 하였다. 부친께서는 본래 일이 많은데 과연 그때쯤에 틈을 낼 수 있으시겠느냐고 물었다.
天游 金衡七은 靑溪 金璡의 冑孫이다. 그의 딸인 義城金氏(金時娟)가 半啞 柳顥集의 장남인 七休堂 柳寔勳에게 시집가서 柳仲坤 등을 낳았다. 곧 金衡七柳顥集은 사돈지간이다. 이 편지는 柳寔勳義城金氏가 혼인을 치르기 바로 전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김장경,김순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31년 김형칠(金衡七) 서간(書簡)

謹謝候。
省。方攤夕飯。適拜
兄書。讀其頭辭。遂得噴飯滿案也。
夫患人之逋慢於家者。以其眞個逋慢
也。若如兄之逋慢者。患不逋慢也。祗愳
前頭。兄之逋慢。不承權輿也。安知
兄之讀此。反不爲之噴飯滿案也。此時
短砌紫薇。殿春開遍。伏拜悉
定餘友上。一享超邁。山牕盡靜。庚黃哢
舌。夐對卷中人。其樂自有。人不及知者矣。
艶仰之至。査弟朞服人。欲新與香山法侶結
一社。蓋不堪此多生苦海也。老親愆攝。焦
前已極。而大小各家。鱗次告警。未知誰人能
寶筏度家也耶。胤君去西時。蹔訪入。而訊
其歸覲之期。則在日間云。果得踐言否。以若才
氣。得有定志。顧何事難做。而深恐其志之不定。
馴致蹉跎也。自西歸若入來。欲以此語之必須。
使之截然。有所執定。而但此之不出。正可能深入
否。其對覲行。近來葉戒。稍稍向歇。
日間往星曆家。訊定日字仰告計耳。
來汝非不樂聽。而無傭之家。播秧極
是大政。待播了。欲與
春堂從者。一會於愚亭福地之間計。

春堂自多事。果於那間。得搦其隙
否。餘。方向泗上去。悤悤。不備謝禮。伏祈
情烱。
辛未四月二日。査弟 金衡七。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