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25년 이규영(李奎英)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925.4717-20130630.02592570003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규영, 금상기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25
형태사항 크기: 28 X 41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25년 이규영(李奎英) 서간(書簡)
1925년 10월 26일에 이규영이 사돈인 금상기에게 안부를 묻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어제 경사스러운 일을 축하하는 자리에 가서 축하드렸으나 당신께서 말씀이 없으셔서 송구스럽다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방 아버지의 병이 심해진 것을 걱정하고 병간호에 너무 신경을 써서 몸을 상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하고 있다. 끝으로 자신이 못나 가문을 잘 지킬 수 있을지 걱정되지만 사위가 의젓하여 마음이 위로된다고 하며 편지를 마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奉化琴氏世譜』, 奉化琴氏大宗會, 奉化琴氏大宗會, 2005
김인호

상세정보

1925년 10월 26일, 李奎英이 사돈인 琴相基의 안부를 묻기 위해 보낸 편지
1925년 10월 26일에 李奎英이 사돈인 琴相基의 안부를 묻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비천한 자신의 집에서 경사를 얻어 어제 서로가 축하하는 자리에 가서 은택을 입은 것을 축하 드렸으나 한 마디 말씀이 없으셔서 비록 경사스러운 일을 당했더라도 돌아오면서 오히려 송구스럽다고 하고 있다. 여기서 나오는 경사스러운 일은 아마 혼인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사정을 알 수 없다. 이어서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있다. 당신이 보내신 편지를 받아 추위가 점점 심해지는데 春府査丈의 환후가 갈수록 심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니 아버지를 병간호하는 것에 너무 마음을 써서 당신께서도 병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하시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끝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안부를 전하고 있다. 자신은 변변찮고 시속의 의식에 대해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만 성품이 완루하여 갑자기 변화시키지 못하고 있으니 어떻게 10세대 獻藻의 예와 백년토록 奉箒하는 절도를 감당하겠냐며 근심스럽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사위가 老成한 사람과 같아 마음이 위로되고 자신의 생각으로는 며칠 머물면서 사위를 보고 싶으나 자기도 약을 달이는 일을 비울 수 없어 돌아오니 안타깝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당신께서 몸 건강히 부모님을 잘 모실 것을 기원한다고 하며 편지를 마친다.
본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春府査丈은 琴相基의 부친인 琴祜烈을 의미하고 允郞은 자신의 사위 琴容國(1905~2000)을 의미한다. 琴祜烈은 本은 奉化, 字는 景受로 梅軒 琴輔(1521-1584)의 10代 胄孫이다. 李奎英이 편지를 쓴 뒤 4일 뒤인 10월 30일에 죽었는데 이를 통해 그의 병이 중병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취인 琴相基는 本은 奉化, 字는 聖洛, 號는 石湖이고 忠淸道 觀察府 主事를 지냈다. 配는 眞城李氏, 後配는 羽溪李氏 이다. 저서로는 『大字帖』 2책, 『金剛山遊錄』이 있다. 발급인은 李奎英으로 眞城人이며 父는 李挺補이다.
이 편지는 안동지역 양반들의 교유관계를 알 수 있는 기본 자료로서 봉화김씨 가문과 진성이씨 가문의 혼맥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편지는 마을사, 미시사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奉化琴氏世譜』, 奉化琴氏大宗會, 奉化琴氏大宗會, 2005
김인호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25년 이규영(李奎英) 서간(書簡)

省式言。
顧玆賣犬之家。獲此乘龍之慶。昨已晉
賀於猥蒙兩階之日。而但無敎一物。雖曰
慶雲所覆。歸猶悚汗也。更伏承審。
寒事漸緊。
春府査丈患候。去益沈重云。冷暖之節。
自不敢煩叩於
侍湯繼昝之暇。而根天色憂之餘。倘不
至生病耶。萬加保重如何。査弟。自來
寒素。所謂俗議。徒沒巴鼻。此則已屬
一時過去之愧。而瓦缶之頑。卒難變化
矣。將何以堪任於十世獻藻之禮。百年奉箒之節
也。然至戀之地。無物不愛。旦允郞凡百。便同
老成。以是自慰耳。意欲宿宿看
玩。而以湯罏之難曠如是。卒旋
落悵落悵。餘惟祝。
愛日踐誠。不備。謝疏上。
乙丑 十月 二十六日。査弟 李奎英 疏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