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7년 이훈발(李塤發)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7.4777-20130630.06592570035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훈발, 이현모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작성시기 1887
형태사항 크기: 20.5 X 39.4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일월 재령이씨 인려후손가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7년 이훈발(李塤發) 서간(書簡)
1887년 12월 27일, 李塤發이 상대의 편지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하고 아버지가 귀양을 가 있는 상태에서 새해를 맞는 정황을 전하기 위해 李鉉謨에게 보낸 편지이다. 세모의 안부를 알게 된 기쁨을 전하고 막내 형이 이주한 것을 축하하였다. 자신은 유배지의 아버지와 떨어져 있어 괴롭고 소식도 보내지 못하는 울적한 심정을 전하였다. 從父가 추위에 병이 재발하여 괴로운 심정과 틈틈이 책을 보지만 집중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전하였다.
김정민

상세정보

1887년 12월 27일, 李塤發이 상대의 편지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하고 아버지가 귀양을 가 있는 상태에서 새해를 맞는 정황을 전하기 위해 李鉉謨에게 보낸 편지
1887년 12월 27일, 李塤發이 상대의 편지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하고 아버지가 귀양을 가 있는 상태에서 새해를 맞는 정황을 전하기 위해 李鉉謨에게 보낸 편지이다.
歲暮 窮寒에 온갖 생각이 일어나는 중에 온 편지를 고마워하였다. 며칠 뒤 새해가 되는데 모친을 비롯한 여러 가족의 안부를 알아 위로된다고 하였다. 막내 형이 이주한지 달이 지나 생각이 깊어지는데 가문의 불운에 한 가닥 음덕이 발양하는 것 같다고 하였다. 그래서 편지를 드려 축하드리고자 하였으나 바쁘게 날을 보내다 하지 못하여 한탄한다고 하였다. 자신은 어버이를 떠난 심회가 이 새해를 맞이하는 때를 당해 더욱 견디기 어렵다고 하였다. 아버지가 유배지에 있어 소식도 보내지 못하니 더욱 울적하다고 하였다. 9월에 쓰신 편지를 받아 조금 마음이 놓인다고 하였다. 어머니는 병을 면했고 나머지 권솔도 아무 일이 없는데 從父의 묵은 병이 추위를 당해 근래 심하게 되어 회복을 기약할 수 없어 괴롭다고 하였다. 자신은 일에 휘둘려 안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틈이 생기는 때마다 책상을 대하고 앉았으나 마음과 손이 서로 상응하질 않는다고 하였다. 때때로 가르침을 주기를 바라였다.
발급인인 李塤發(1863~1914)은 본이 載寧이고 자가 篪伯이며, 대한민국건국훈장애족장을 받은 李壽岳의 아들이다. 수취인인 李鉉謨(1853~1927)는 본이 載寧이며 자가 景贊이고 호는 仁廬 또는 亦人齋이다. 李壽五의 제 3자로 寧海 仁良里에서 태어나 1896년에 英陽 石保面 做士洞으로 이주하였다. 『仁廬處士遺稿』가 전한다.
李塤發의 부 李壽岳(1845~1927)은 자가 穉崇이고 호가 于軒으로 存齋 李徽逸의 8세손이다. 영해부 梧村里 존재종택에서 출생하였다. 1886년에 대원군이 유폐당하여 왕세자의 책봉에 참여하지 못한 일의 부당함을 들어 상소한 일로 인하여 雲圃 李中麟, 泗上 李東弼 등과 함께 4년간 明川으로 유배당하였다. 1895년 민비가 시해되자 列邑에 통문을 돌려 擧義할 것을 촉구하고 1896영덕·영해의 의병장이 되어 활약하였다. 부대를 이끌고 안동으로 집결 중 정부의 의병 해산 권고에 따라 자진 해산시켰다. 『于軒文集』이 있다. 1993년 大韓民國建國勳章愛族章이 수여되었다.
본 편지가 쓰인 때인 1887년에 이훈발의 부 이수악함경도에 유배되어 있었다.
김정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7년 이훈발(李塤發) 서간(書簡)

歲暮窮寒。百感弸中。際此
下書。良感良感。仍伏候數宵禪。
太碩人鼎茵加護萬重。
省餘棣床候淸毖。胤玉侍課
佳吉。何等仰慰。季方兄移住有
月。想多蘊奧。大抵吾門陽九之會。
此箇聲響。有如積陰之線陽。久擬致
書一賀。而怱怱度日。願莫之遂。徒恨
何及。一村都候一安否。族小弟。離親
懷緖。當此餞迓之際。而尤難堪遣
矣。且月初延禮。凡節叶望。而落落天
涯。音聞亦莫之及。則一倍愁鬱。
當何如哉。差可降意者。得九月
之書。承安候耳。慈節免添。餘眷
無大何。而從父宿愼。當寒比劇。間試
刀圭。而快復未易期。悶人悶人。所謂
自家事。冗擾妨奪。專廢收拾。
或隨暇對案。而自然心手不相應。
何哉。承示不覺汗然。惟願時
賜敎誨切望。餘座擾。不備
上。伏祝
侍事餞迓增重。
丁亥 十二月 二十七日。族小弟 塤發 拜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