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6년 류기호(柳基鎬)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6.4717-20130630.01032570063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기호, 이만도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작성시기 1886
형태사항 크기: 23.1 X 37.3
장정: 낱장
수량: 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6년 류기호(柳基鎬) 서간(書簡)
1886년 1월 25일에 류기호가 귀양을 떠나는 날을 알려주고 앞으로의 계획을 알아보기 위해 이만도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의 병이 난 상황을 알게 되어 놀라고 걱정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상대 집안사람들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의 경우는 그저께 집으로 돌아와서 며느리를 보게 되어 귀양을 떠날 일이 바로 눈앞에 있다는 것도 잊을 정도로 즐겁다고 하였다. 유배 행은 2월 10일 전에 출발할 계획이지만 가서 생활하기 위한 제반적인 것들을 아직 마련하지 못하여 매우 걱정스럽다고 하였다. 조정에서 상대에게 따로 벼슬을 내린 일에 대해 언급하며 옛날의 규범에 의거하여 그래도 올라갔다가 오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김동현

상세정보

1886년 1월 25일, 石隱 柳基鎬가 유배지로 떠나는 일정을 알려주고 거취 계획을 알아보기 위해 響山 李晩燾에게 보낸 편지
1886년(고종 23) 1월 25일에 石隱 柳基鎬(1823~1886)가 유배지로 떠나는 일정을 알려주고 거취 계획을 알아보기 위해 響山 李晩燾(1842~1910)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문밖에서 잠깐 만났던 일은 한갓 섭섭한 마음만 더할 뿐이었다고 하면서, 私處에 돌아오니 그리운 마음이 더욱 깊었다고 하였다. 갔다가 돌아온 며느리를 통해서, 李晩燾가 얼음이 언 길을 여행하면서 건강을 많이 해쳤다는 얘기를 상세히 듣고서 너무나 놀라고 걱정했다고 하면서, 밤사이 증세가 어떠하냐고 물었다. 또한 太夫人께서 한결같이 안녕하시며 나머지 가족들도 모두 평안한지도 물었다.
柳基鎬 자신은 그저께야 비로소 官文을 받았고 어제 저녁에 집으로 돌아왔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때 마침 며느리가 오니, 유배살이가 바로 눈앞에 닥쳐 있다는 것도 잊을 정도로 매우 즐거웠다고 하였다. 配行은 2월 열흘 전에 출발할 계획이지만 준비해서 마련한 것이 아직 없으니 매우 걱정스럽다고 하였다. 조정에서 명령으로 仕例를 따로 정한 일로 인해 李晩燾가 한 번 움직이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하면서, 어떻게 작정하고 있는지도 물었다. 옛 규례를 따라서 찬바람을 맞으며 올라가는 것이 출처의 의리에 흠이 없을 것 같다는 柳基鎬 자신의 의견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石隱 柳基鎬와 響山 李晩燾는 서로 사돈지간이다. 李晩燾의 딸인 眞城 李氏柳基鎬의 아들인 奮山 柳淵鱗에게 시집을 갔다. 柳基鎬1864년(고종 1)에 臨川書院의 사액을 청하는 일로 상소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한 데 이어, 1870년 겨울에 임천서원 청액운동을 전개하다가 강원도 金化에 유배되었다. 또한 1881년 영남만인소가 일어나고 李載先 사건이 일어나자 嶺儒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어 수배되었고, 1882년에는 3개월간 옥고를 치르고, 1885년에도 2개월간 옥고를 치른 바 있다. 이 편지는 그가 宣川에 유배가기 직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데, 柳基鎬宣川의 謫所에서 이해 사망하였다.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6년 류기호(柳基鎬) 서간(書簡)

響山 令侍几 入納。
石舍 謹拜狀。
李參議宅 入納。
圜扉外翣面。徒增悵仰。而歸
坐私處。懷想尤倍。卽因轎行。細
聞南旆履歷之餘。
令體大欠康泰。氷程致傷。所
祟不淺。驚慮何極。夜來更何
如。而
太夫人壽候。一向安寧。餘節幷
不有貽憂之端否。溯仰不任之至。査
弟。再昨始受官文出邸。昨暮還家。
婦行適又會到。忘了前頭嶺海
目下況味爲可掬。何樂如之耶。配行
擬以來旬前登道計。然姑未有
辦備見成之事。惱悶惱悶。聞以朝令之
別定仕例。似不免一番動駕云。如何
作算也。依守古規。倘被寒風。似不
欠出處淸操。視此間羞辱。仰之若
萬丈之高。則不知執何爲貢
計矣。然惟在熟算之如何。而
所祝。則保
崇瞻仰
耳。餘擾
甚。不宣式。伏

令照。謹狀上。
丙戌 元月 二十五日。査弟 柳基鎬 拜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