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4년 이만운(李晩運)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4.4717-20130630.01032570077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만운, 류기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4
형태사항 크기: 22.9 X 38.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4년 이만운(李晩運) 서간(書簡)
1884년 6월 22일, 이만운이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조카아이를 통해 상대의 안부를 들었으며 당신 아들이 외모와 내면도 모두 충실하니 다행이라고 하였다. 또한 저의 생질이 당신이 계신 곳으로 이사 간다는 사실을 전하였다. 이어서 자신은 병으로 고생을 하고 있으며 보릿고개가 심해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본론에서 스승의 원고는 이미 판으로 만들어 그것을 교감을 보았으나 아직 인출하지 못하였다고 하면서 간행을 주관하는 사람으로서 부끄럽다고 하였다. 끝으로 춘양의 문상하러 가는 일은 차질이 없었는지 묻고 편지를 마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84년 6월 22일, 이만운이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
1884년(고종 21) 6월 22일에 雙翠 李晩運(1815~1886)이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柳基鎬(1823~1886)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월초에 조카아이가 돌아온 편으로 상대의 편지를 받았는데 편지에 담긴 꼼꼼하고 정성스러운 뜻이 간절하였고, 상대가 자신을 잊지 않고 생각해 주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하였다. 이어, 상대와 아들의 안부를 묻고 특히 상대의 아들이 외모도 좋고 내면도 충실하니 장래에 크게 되지 않을까 염려할 것이 없다고 하였다. 상대의 조카이자 자신의 생질이 상대가 사는 곳과 가까운 곳으로 장차 분가할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다고 하면서, 육십 년 동안 외롭고 힘들게 살았던 상대가 분부하고 의지할 바가 생기게 된 것에 대해 축하한다고 하였다. 자신은 애통한 심정이 더욱 자신을 쇠약하게 만든다고 하였으며, 정력도 약해져 병마와 대적할 형편이 못된다고 하였다. 또한 여러 아우와 아이들이 각자 그럭저럭 지내고 있지만, 큰 흉년 끝에 또 보릿고개를 지내면서 살 방도를 도모하느라 다른 데로 눈 돌릴 겨를이 없다고 하였다.
본론에서는, 스승의 원고는 이미 板校하였으나 아직까지 인출하지는 못하였다고 하면서, 간행을 주관하는 사람들에게 참으로 부끄럽고 죄송스럽다고 하였다. 끝으로, 상대가 春峽으로 問祥하러 가는 일이 차질이 없는지 물으며 편지를 마치고 있다. 여기서 등장하는 스승의 원고는 柳致明의 『定齋集』을 의미하는 것 같으며 春峽 봉화 春陽을 의미한다.
발급인 李晩運은 자가 文五, 호는 雙翠이며 본관은 眞城, 본적은 安東이다. 柳致明의 문인으로 아버지는 李彙廷이다. 1843년 생원에 합격하고 이듬해 增廣試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大司諫吏曹 參議漢城府右尹慶州府尹兵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1875경주부윤 때의 일로 暗行御史의 모함을 입어 무주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났다. 저서로는 『雙翠遺稿』가 전해진다. 수취인 柳基鎬는 자는 鞏甫이고, 호는 石隱이고 부친은 柳致孝이다. 柳致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어 인근 유림의 추앙을 받았다. 저서로는 『客日隨錄』와 『石隱集』이 있다.
이 편지는 영남 사림의 큰 인물의 문집을 간행할 때 많은 門人들이 공동으로 합심하여 일을 처리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편지의 등장하는 李晩運柳基鎬는 모두 柳致明의 문인으로써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19세기 널리 유행하여 이 시기에 영남에서 많은 선조의 문집이 간행되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4년 이만운(李晩運) 서간(書簡)

稽顙。月初侄兒之回。伏拜屢數十言。其
綢繆戀歎之意。不但以阻懷循例者之
爲。則似此罪纍之記存於賢朋友者。亦
知其自幸私也。更伏詢比來。
經體動引。一享護旺。不以節序之失宜。
而有所致損。允君亦穩侍程課否。外貌已
如許。所存又充其實。何患乎不至遠大也。咸
甥聞以稍間處將分鼎云。家政俗細之亦
可堪替於其從弟可知。以座下六十年經由
孤險。乃有此分付擬倚者。豈非平生知舊
間之所可相賀耶。罪人。去去莫逮之痛。益使衰
腸。纏甚縮陷。精力又不能抗敵病魔。難
名一處之疾。大抵無夜不苦痛。所可幸者。晝
不至貼席耳。諸弟淸兒各自僅度。而大無
餘歸。又韻春荒方謀生。他不暇意外致眼
之令。亦牢舊。似不得世上事。果如此甚耶。浩
歎浩歎。師稿已至板校之境。而尙未見其面目。
實多愧悚於幹管者之前耳。春峽問祥之
旆。果無相値否。因便對討。深所苦仰。姑不備。
伏惟
照下。
甲申六月念二日。罪人李晩運。疏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