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4년 이돈우(李敦禹)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4.4717-20130630.01032570005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돈우, 류기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4
형태사항 크기: 19.5 X 42.4
장정: 낱장
수량: 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4년 이돈우(李敦禹) 서간(書簡)
1884년 8월 9일, 이돈우가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돈우는 道疏를 올리는 일에 대한 류기호의 견해가 어떠한지 듣고 싶다고 하였다. 조정에서 자신을 융숭하게 대접하는 상황에서 말해야 할 것을 말하지 않는 것은 도리가 아니기 때문에 조정에 진달할 생각이었으나 만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만두었는데, 류기호의 정당한 의견을 받아들여 조치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흉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봄에 죽지 못한 것이 오히려 큰 불행이라고 하면서, 이러한 때에 군섭이 움직이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 아니면 망령된 것이라고 하였다. 고향을 지키면서 빈천하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하면서, 그에게 편지를 써서 만류하면 들으려 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선주

상세정보

1884년 8월 9일, 이돈우가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
1884년(고종 21) 8월 9일에 肯庵 李敦禹(1807~1884)가 『定齋集』 완간 등과 관련하여 石隱 柳基鎬(1823~1886)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돈우류기호가 先師인 柳致明의 문집 곧 『정재집』을 보내준 것에 대해서 다행스런 마음을 전하고 아울러 류기호의 정성을 치하하였다. 일반적으로 『정재집』은 류치명의 아들 柳止鎬이돈우權璉夏金興洛 등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 ․ 편차하여 1883안동 龍潭寺에서 초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마도 그 초간본이라는 것이 이 무렵에 이르러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문집 간행에 진력했던 류기호의 노력도 살필 수 있다.
이어서 8월도 이미 초순이 되어 류기호의 亞庭(숙부)의 小祥이 다만 보름 남았으므로, 류기호의 비통한 심정이 편지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을 것이라고 하였다. 류기호의 숙부 가운데 안동 座首를 지냈던 省軒 柳致厚1883년(고종 20) 8월 25일에 사망했던 일과 관련된 것이다. 이돈우는 가을에 병이 차도를 보이는 듯하였으나 움직이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고, 근래 사위를 맞는 데에 불편하여 산에서 내려와 집안에서 지내기도 한다면서, 산수와 벗하는 즐거움 따위는 없다고 심경을 나타냈다. 『肯庵集』 연보에 따르면, 이돈우는 이해 여름에 風祟를 치료하기 위해 山亭에 기거한 바 있다.
이어 道疏를 올리는 일에 대한 류기호의 견해가 어떠한지 듣고 싶다고 하였다. 조정에서 자신을 융숭하게 대접하는 상황(자신의 吏曹參判 임명, 李象靖의 追(加)贈을 포함한 그 先世에 대한 追贈 조치 등)에서 말해야 할 것을 말하지 않는 것은 도리가 아니기 때문에 조정에 진달할 생각이었으나 만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만두었는데, 류기호의 정당한 의견을 받아들여 조치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흉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봄에 죽지 못한 것이 오히려 큰 불행이라고 하면서, 이러한 때에 君燮(편지에는 燮君이라고 되어 있음. 萬山 柳致儼의 아들인 柳永鎬의 字)이 움직이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 아니면 망령된 것이라고 하였다. 고향을 지키면서 貧賤하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하면서, 그에게 편지를 써서 만류하면 들으려 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끝으로 문집의 제작 상태에 대해 만족감을 표하고, 아쉬운 점에 대해서도 말하였다.
발급인 이돈우는 본관이 韓山으로, 자는 始能, 호는 肯庵이다. 아버지는 秀應이고, 大山 李象靖의 高孫이다. 그런데 壺谷 柳範休의 아들인 柳魯文이상정의 아들인 李埦(이돈우의 증조부)의 막냇사위였기 때문에, 이돈우에게 류노문(곧 류기호의 伯祖)은 大姑母夫가 된다. 이돈우류기호는 이런 戚分이 있는 데다, 모두 定齋 柳致明의 문인으로서 서로 깊은 교분을 맺었다. 이돈우1850년 문과에 급제하여 承文院正字典籍校理刑曹參議吏曹參判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肯庵集』이 전한다. 道疏를 비롯해서 편지에 언급되고 있는 사항은 李敦禹柳基鎬의 문집 및 관련 기록을 보다 구체적으로 참조해야 파악할 수 있을 듯하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4년 이돈우(李敦禹) 서간(書簡)

石舍 經几下。
謹謝狀上。甲申八月九日。
間阻狀。告哭。第切耿耿地仰。忽此
專价惠狀。已極感幸。而況寄以新集。抱此未
能窺見百官宗廟之節。而摩挲數回。深幸老
不死。得見吾道有傳。斯文重光。此則乃吾兄袒
胸之誠。同堂敏事之義。出尋常萬萬也。何如
其慶且幸也。仍審乖候。
經體節宣連致神謐。庇節勻晏。同堂僉候
各迪。區區遠慰尤不任。第此月已旬。
亞堂朞祥。祗隔一望。替事悲慟之情。烏得不如
示耶。旋切於悒。戚從。一年所苦。得秋似有減分。而
終不利於動作。近拘迎壻之不便者。時或下山。居
家廢巾潛伏。古人所云山林之樂。亦不能自有者。
正道近來此間情事也。可歎。道疏事。向會已敦。向
前之議。切幸士氣之不衰而尙旺。然則今輿望。似全
在昔李議一出。未知何以爲料。深所欲聞耳。鄙所
香受事。蓋以朝家之待賤臣。前後特絶。而一向諉
以老廢。嘗言而不居。亦非道理。所以別作商量。爲一
番瀝陳之計矣。人見不同。挽之者多。所以休罷者有同。今
承示意正當。尤幸其從。早斷置耳。向歸時犯危
之示。追思猶凜然。而到今世路。無非危惡境界者
何。秋事。又似無望。目下爻像。不死於春。非幸也。乃大不
幸。此時燮君之欲動。正所謂非愚則妄也。入文海而富
貴。何如守故山而貧賤耶。若作書以止之。未知渠果聽
從否。刊品甚好。印粧又精緻。可喜。但所欠。
刊事◘筆。是爲欠事。亦且如何。餘。臨
便擾擾。不宣狀禮。
甲申 八月 九日。戚從 敦禹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