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3.4717-20130630.01032570071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만도, 류기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3
형태사항 크기: 21.3 X 37.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1883년 7월 5일에 이만도가 사위를 보내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돈댁에 보낸 편지이다. 상대 및 당내 여러분의 안부를 물었다. 이만도는 자신의 生養家 모두 예전처럼 지내고 계시고 季父의 기력이 지난겨울에 왕림하셨을 때에 비해 나아졌다고 하였다. 대체로 근년에 고생을 실컷 겪으셨는데 노쇠하고 젊어지는 것이 상식과 어긋나니, 진실로 기이한 일이라고도 하였다. 사위가 절에 공부하러 가서 공부를 제대로 하고 있으면 참 다행이라고 하면서, 그가 罷接하거든 보름께 자신에게 보내달라고 부탁하였다.
김선주

상세정보

1883년 7월 5일에 이만도가 사위를 보내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돈댁에 보낸 편지
1883년(고종 20) 7월 5일에 響山 李晩燾(1842∼1910)가 사위를 보내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돈댁에 보낸 편지이다.
먼저, 가문 상황에서 어느덧 가을이 되니, 온 천하 사람들이 구렁텅이에 빠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물이 새어 드는 배가 아직 전복되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하면서, 비가 지금이라도 온다면 흉년은 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기대감을 전하였다.
이어, 상대 및 堂內 여러분의 안부를 물었다. 이만도는 자신의 生養家 모두 예전처럼 지내고 계시고 季父의 기력이 지난겨울에 왕림하셨을 때에 비해 나아졌다고 하였다. 대체로 근년에 고생을 실컷 겪으셨는데 노쇠하고 젊어지는 것이 상식과 어긋나니, 진실로 기이한 일이라고도 하였다. 사위가 절에 공부하러 가서 공부를 제대로 하고 있으면 참 다행이라고 하면서, 그가 罷接하거든 보름께 자신에게 보내달라고 부탁하였다.
끝으로, "상대의 아우가 오랫동안 애걸하는 나그네가 되었는데 혹 貴中에 이를 듯하다."고 하였는데, 어떤 일을 가리키는지는 이 편지 내용만으로는 알 수 없다.
殉國烈士 이만도와 石隱 柳基鎬는 서로 사돈지간이다. 이만도의 딸인 眞城李氏류기호의 장남인 奮山 柳淵鱗과 혼인하였던 것이다.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癸未 七月 五日。
不雨生秋。擧天下。入於溝壑。
送迎將自此斷絶。而漏船未
覆。猶是酣呼時節也。又安得
無如渴之思於天瓢之前耶。
伏惟此時。
靜中氣體對序萬重。堂
內大小節並吉。伏溯區區下誠。
査下生。各庭依昔。季父氣力。視
昨冬來臨時。煞有勝焉。大都近
年喫辛耐遣。老少反常。是亦異事耳。
壻君所業。或不因蕭寺之役。任
自漫過。則幸矣。待其罷接。望間
送來如何。季君長作乞憐客。而
似或轉到貴中耳。忽見尺僮。
潛出門。暫此伏候。留不備。伏惟
下察。上候書。
癸未 七月 初五日。査下生 李晩壽 上候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