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3.4717-20130630.0103257007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만도, 류기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3
형태사항 크기: 25.7 X 38.4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1883년 5월 26일, 이만도가 근황을 전하고 채무 변제와 관련하여 사돈댁에 보낸 편지이다. 자신의 어버이께서 편찮으신 것이 아이들이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은 것 같다고 하였는데, 연관 관계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다. 이어 새로 과거에 합격한 사람이 이곳으로 오는 것은 허무맹랑한 이야기에 동요된 것이고 屛鄕에서 인사하는 것도 빨리 마칠 수 없을 듯하다고 하였는데, 역시 무슨 말인지 이해가 쉽지 않다. 또한 표곡천전에는 본디 금방 부자가 되는 법이 있으니 옛날에는 그냥 넘어갔던 것에 대해 지금은 이자를 요구한다고 하면서 난감함을 표하였다. 표곡천전의 사람으로부터 향산이 채무 변제를 독촉 받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김선주

상세정보

1883년 5월 26일, 이만도가 근황을 전하고 채무 변제와 관련하여 사돈댁에 보낸 편지
1883년(고종 20) 5월 26일에 響山 李晩燾(1842∼1910)가 근황을 전하고 채무 변제와 관련하여 사돈댁에 보낸 편지이다.
먼저, 仙境에서의 좋은 모임은 쉽게 파하고 돌아오기에 아까웠는데 정중한 답장을 가까운 시일 내에 받게 되었다고 하면서 감사의 뜻을 전하였다. 상대가 돌아온 뒤에 기력이 손상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고 하면서, 山水와 道院의 사이에서 경치의 도움을 받아 흥취가 발한 바가 있었던 것이니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연세 높은 어르신의 병환은 더위에 조섭을 적절하게 하지 못한 때문인 줄로 생각된다고 하면서, 안부를 여쭙지 못하였던 것이 매우 한스럽다고 하였다.
이만도는 자신의 어버이께서 편찮으신 것이 아이들이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은 것 같다고 하였는데, 연관 관계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다. 이어 새로 과거에 합격한 사람이 이곳으로 오는 것은 허무맹랑한 이야기에 동요된 것이고 屛鄕에서 인사하는 것도 빨리 마칠 수 없을 듯하다고 하였는데, 역시 무슨 말인지 이해가 쉽지 않다. 또한 (瓢谷川前을 가리키는 듯함)에는 본디 금방 부자가 되는 법이 있으니 옛날에는 그냥 넘어갔던 것에 대해 지금은 이자를 요구한다고 하면서, 折券(債券을 포기하고 돈을 다시 요구하지 않음)을 받을 수 없는 것에 대해 난감함을 표하였다. 표곡천전의 사람으로부터 향산이 채무 변제를 독촉 받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끝으로, 나머지 사연은 別幅에 기재해 두었다고 하였다.
殉國烈士 이만도와 石隱 柳基鎬는 서로 사돈지간이다. 이만도의 딸인 眞城李氏류기호의 장남인 奮山 柳淵鱗과 혼인하였던 것이다.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癸未 五月 二十六日。
仙區勝會。非容易罷還者。鄭重追覆
承於不多日之間。乃知分夤重故也。伏感何
極。昨朝嬌緘小封餘如口大。而責速作答。入
裏針手以任。時方食謂汝邊人。必見汝去
勿爾也。厚顔猶騂而退。經宿之間。再三讀
來。書意未窮也。仍伏審
還次後。氣力無損。助發於山水道院之間者
有之矣。伏慰伏慰。
大耋添候。想是炎天。將攝之失宜。而於景在
乎。曾未控一問。伏恨伏恨。査下生。親候有諐。似是兒
曺繅盆。有以致之。欲撞破烟竈。則止之者。乃
是居中。半死鬼爲鬼。他日計急火小下耳。新恩
此峽之行。始爲浪說所動。而又屛數鄕人事。似未
速了。自有速富之法。昔之虛度。責殖
於今日。折券不得。奈何奈何。伏呵伏呵。餘。在別幅。伏
惟恕其俚忽。而察其衷悃。
癸未 五月 二十六日。査下生 李晩燾 答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