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3.4717-20130630.0103257007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만도, 류기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3
형태사항 크기: 21 X 36.1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1883년 5월 18일에 이만도가 근황을 전하기 위해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별한 후 편지를 쓰지 못한 것에 대한 미안한 마음을 전하고, 심한 더위 중에 사돈인 상대방을 비롯하여 여러 식구들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어버이의 병환은 없으시지만, 과거에 급제하여 선조의 무덤에 고하는 일[榮掃]을 미루고 있으니 참으로 괴롭다고 하였다. 서로 여유롭게 만나는 일은 상대방의 조치에 달려 있다고 하면서, 이해해 달라고 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883년 5월 18일, 李晩燾가 근황을 전하기 위해 사돈인 柳基鎬에게 보낸 편지
1883년(고종 20) 5월 18일에 響山 李晩燾(1842∼1910)가 근황을 전하기 위해 石隱 柳基鎬(1823~1886)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禮樂을 논하는 자리에서 헤어진 뒤에 편지를 보내지 못하였던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표하였다. 이어 가문 철의 심한 더위에 柳基鎬가 건강한지, 집안의 나이 드신 어른의 체후가 평안하신지, 가족들은 고루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李晩燾 자신은 偏親께서 병환은 없으시나, 新恩이 榮掃하는 일을 끝내 마치지 못하고 뒤로 미뤄 두었으니 진실로 괴롭다고 하였다. 끝으로, 여유롭게 만나는 일은 柳基鎬 측의 조치에 달려 있다고 하면서, 마음속으로 이해해 달라고 하였다.
殉國烈士 李晩燾와 石隱 柳基鎬는 서로 사돈지간이다. 李晩燾의 딸인 眞城李氏柳基鎬의 장남인 奮山 柳淵鱗과 혼인하였던 것이다.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3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一路。自禮樂場分。而中間蹭
蹬多事。曰無仰慕之心。而
苟非不敎物。臘後猛椎。討轉
便不得。奚有乎本情乎。伏惟
旱炎
靜中經體候益膺休康。
大耋候萬安。庇下諸致均平。伏溯
區區下悰。査下生。偏側無見添。新
恩榮掃之役。終未畢。爲其後殿。
良亦苦哉。今日是夏至。去冬至想
不遠。行計之戀。去益甚焉。未前得
奉從容。惟在貴中處置。可黙
會矣。餘。在前幅。不備。伏惟
癸未五月十八日。査下生 李晩燾。上候書。
癸未五月十八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