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2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82.4717-20130630.01032570070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만도, 류기호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2
형태사항 크기: 17.6 X 3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2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1882년 12월 30일에 이만도가 혼례 날짜를 잡는 일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처음 새해가 다 되어가는 요즈음 상대와 상대 집안사람들이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의 경우 어버이의 병환, 아들이 공부도 하지 않고 다니고 있는 상황, 집안의 말을 팔아서 빚을 값아야 하는 이야기 등의 근황을 전했다. 새해 달력을 보낸다고 하면서, 자식의 혼인 날짜를 정하여 보내 달라고 요청하였다.
김동현

상세정보

1882년 12월 30일, 響山 李晩燾가 예식 날짜를 잡는 일과 관련하여 石隱 柳基鎬에게 보낸 편지
1882년(고종 19) 12월 30일에 響山 李晩燾(1842∼1910)가 예식 날짜를 잡는 일과 관련하여 石隱 柳基鎬(1823~1886)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려는 이때에 柳基鎬 및 同堂 여러분이 만복하고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李晩燾 자신은 어버이께서 근래 다시 병환을 앓으시는데 회복될 기약이 없다고 했으며, 아이도 北峽에서 돌아오기는 하였는데 읽던 경전을 다 끝내지도 못하고 왕래하면서 시간만 허비하려고 하니 너무 얄밉다고 하였다. 장차 말을 팔아서 빚을 갚으려 한다는 소식을 전하고 洗山 柳止鎬 어르신이 아직 머물고 있는지 물었다. 신년 달력을 보낸다고 하면서 미리 혼인 날짜를 잡아서 가르쳐 달라고 부탁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노복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전달하게 한 夾紙를 제대로 전달받았는지 묻고, 딸아이가 모르게 한 것도 의도가 있었다고 하였는데, 이 편지의 내용만으로는 구체적인 내막을 알기 어렵다.
殉國烈士 李晩燾와 石隱 柳基鎬는 서로 사돈지간이다. 李晩燾의 딸인 眞城 李氏柳基鎬의 장남인 奮山 柳淵鱗과 혼인하였던 것이다.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2년 이만도(李晩燾) 서간(書簡)

伏未審獻發。
靜中氣體膺休康福。
堂廡都節幷安。伏溯
區區且祝。査下生。親癠近
復鴻洞。蘇減無期。兒
北峽始歸。而所讀眞經。
尙未了却。徒欲往來送日。
甚憎甚憎。行將賣鬣脫債。
而及此足其足晉候一過
後。長作逸蟄。未知洗山丈。
亦爲尙留否。新曆仰呈。
預卜于期。指敎如何。切
有好事之僻。夾紙別呈。而
名辰也。奴不可宿於外中
道。而遞人轉達。未知不洪喬。而隔閾又不使女兒知之者。
亦有意也。下諒視之。
餘。不備。伏惟
壬午 除夕。査下生 李晩燾 再拜。
壬午十二月除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