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4년 하계 문중(下溪門中)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F.1874.4717-20130630.01032570005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하계 문중, 임호서당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74
형태사항 크기: 29 X 62.1
장정: 낱장
수량: 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4년 하계 문중(下溪門中) 통문(通文)
1874년 12월 2일, 하계 문중이 어떤 순절자에 대한 포상 청원과 관련하여 임호서당에 보낸 통문이다. 하계 문중 측은 자신들의 서원에 도착한 통문을 받고서 박실의 순절 사실에 대해 살피게 되니 자신들도 모르게 눈물이 떨어지고 찬탄하였다고 하였다. 이미 임호서당 측에서 중대한 의론을 일으켜서 전후로 呈訴하기에 이르렀고 한편으로는 감영으로 달려가 관찰사에게 포상을 청원하는 거사를 도모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경의를 표하면서, 자신들도 함께 참여할 의사를 피력하였다. 감영으로 가는 일이 지체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우선 三字를 대략 거두었다고 하면서, 포상 청원을 서둘러 도모해달라고 당부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선주

상세정보

1874년 12월 2일, 하계 문중이 포상 청원과 관련하여 임호서당에 보낸 통문
1874년(고종 11) 12월 2일에 下溪 門中이 어떤 殉節者에 대한 포상 청원과 관련하여 臨湖書堂에 보낸 通文이다.
통문의 외형적 형태를 모두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내용상으로는 통문으로 분류할 수 있는 문서이다. 하계 문중 측은 자신들의 書院(陶山書院을 가리키는 듯함)에 도착한 통문을 받고서 瓢谷[박실]의 殉節 사실에 대해 살피게 되니 자신들도 모르게 눈물이 떨어지고 찬탄하였다고 하였다. 이미 臨湖書堂 측에서 중대한 의론을 일으켜서 전후로 呈訴하기에 이르렀고 한편으로는 감영으로 달려가 관찰사에게 포상을 청원하는 거사를 도모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경의를 표하면서, 자신들도 함께 참여할 의사를 피력하였다. 끝으로, 감영으로 가는 일이 지체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우선 三字를 대략 거두었다고 하면서, 포상 청원을 서둘러 도모해달라고 당부하였다.
하계 문중이란 禮安 하계의 眞城李氏 문중을 가리키는 바, 聯名한 이들도 모두 진성이씨 가문의 인물들이다. 대표적으로 溪西 李晩松, 小溪 李中斗, 響山 李晩燾 등이 이 통문에 참여하였다. 『안동의 현판』(안동민속박물관, 2004)에 따르면, 임호서당은 雲川 金涌을 제향하던 서원이다. 瓢谷 殉節 사실에 대해서는 미상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안동의 현판』, 안동민속박물관, 2004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4년 하계 문중(下溪門中) 통문(通文)

臨湖書堂。
僉座前 回納。下溪門中柬通。
伏惟窮律。
僉體萬重。鄙等各保劣狀耳。卽伏承抵鄙院
通諭。就審瓢谷殉節事實。自不覺隕淚
而擊節也。僉尊旣峻發大議。至有前後
呈訴。而行且謀。走營請褒之擧。尤令人歎
仰。凡有彛衷者。孰不同聲相與。而顧院會。恐
或因循營行。不可遲緩。先自一方。略收三字。
玆以仰答。伏願僉尊丞圖呼籲。以爲敦事
之地。千萬幸甚。
甲戌 十二月 初二日。
正言 李晩松。幼學 李中極李彙卨李晩燁李彙徹李晩佑李彙徵李彙澤李彙稷李彙潑李晩逸李中振李晩道。生員 李晩杰。幼學 李晩協李彙昌。前都事 李晩起。幼學 李晩直李晩定李中健李中儉李中衡李晩垕李晩宣。生員 李中斗。幼學 李鼎鎬李璧鎬李晩忠李晩省李晩嶠。前應敎 李晩燾。幼學 李晩騏李宗鎬李中信李中儀李晩選李冕鎬李中簡李承鎬 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