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3년 안동군 길안면(吉安面) 배방동(杯芳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배방동(杯芳洞)은 조선시대 임하현에 속하였으나,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편에 따라 안동군 임남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구수리의 일부를 통합하여 다시 길안면에 예속시켰으며, 배방리가 되었다. 1995년 안동시와 안동군이 통합되면서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배방리는 길안면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하며, 배방리의 동쪽으로는 청송군과 경계를 이루고 남쪽으로는 의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계명산 자락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수천이 발원하여 흐르며 배방지가 있다.
잔배이 · 텃골 · 모드미 · 비석거리 · 새텃골 · 고무시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잔배이는 잔배이골 · 내배(內杯)라고도 하며, 배방리의 자연마을 가운데 가장 먼저 형성되었다. 마을 명칭은 주민들이 술을 즐겨 마셨다 하여 붙여졌다는 이야기와 선비들이 마을을 개척한 후 시를 읊으며 술잔을 들었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내배는 배방리의 안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텃골은 점터 · 기곡(基谷)으로도 불리며, 외배에서 남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본래는 잔배이의 동구에 해당하는 마을로 지금도 마을 앞 당나무에 두 마을이 함께 동제를 지낸다. 옛날 점터(솟점)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며, 지금도 간혹 흙과 돌이 엉긴 것이 출토된다.
모드미는 새마을 · 외배(外杯) · 신리(新里)라고도 하며, 청송으로 가는 도로변에 위치한다. 잔배이와 비석거리에서 내려오는 개울물이 합수되는 지점이라 하여 모드미라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잔배이와 비석거리 주민들의 회합이 있을 때 여기서 모인다 하여 모드미라 한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마을이 없던 곳에 새로 마을이 생겼다 하여 새마을 혹은 신리로도 부르며, 바깥쪽에 있다고 하여 외배라고도 한다.
비석거리는 외배에서 동쪽으로 2㎞가량 떨어진 마을로 안동과 청송의 경계에 있다. 옛 이름은 마을 입구에 큰 팽나무가 있어 팽나무재라고 하였고, 옛 길가에 장승이 있어 장승배기라고도 한다. 비석거리는 1800년(정조 24) 경상도 관찰사가 샛길을 내면서 비석을 세운 뒤에 붙여진 이름이다.
새텃골은 신기(新基) · 신기리(新基里)라고도 하며, 19세기 초 이씨와 유씨가 모여 살게 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새텃골에서 1㎞ 정도 떨어진 청송군 파천면에 예텃골이란 마을이 있었는데, 이에 비해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텃골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고무시골은 안동시와 청송군 파천면의 두 지역에 걸쳐 있다.
1913년 배방동에는 姜氏, 權氏, 琴氏, 金氏, 朴氏, 安氏, 禹氏, 劉氏, 柳氏, 尹氏, 李氏, 林氏, 張氏, 韓氏 등 적어도 14개 이상의 성씨가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金氏씨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愼鏞廈, 韓國硏究院, 1979
『朝鮮土地調査事業の硏究』, 宮嶋博史,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91
남기현, 『史林(성대사림)』 32, 수선사학회, 2009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
김효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