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2년 이규진(李奎鎭) 고신(告身)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A.1822.1100-20130630.E4784013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작성주체 순조, 이규진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822
형태사항 크기: 51 X 75.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2년 이규진(李奎鎭) 고신(告身)
1822년(순조 22) 7월 21일, 국왕이 이규진통훈대부 행 성균관 전적 겸 양현고 주부로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이다. 이규진1799년 문과에서 장원급제 한 뒤 벼슬생활을 하다가 1804강원도 도사라는 외관직을 임명받고서 사직서를 제출한 이후에는 관직 생활을 하지 않고 고향인 성주에 머무르는 것으로 보인다. 1811년에는 병조 정랑을 제수 받지만 병으로 인한 사직서를 제출하고 계속해서 재외에 머무른다. 1813년 5월 10일 이후에는 수차례 사헌부 장령을 비롯하여 여러 관직을 임명받지만 역시 부임하지 않고 고향인 성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관직부임을 고사하는 것은 아마 노환 때문에 관직생활을 영위하기가 힘들어서였을 것으로 추측해 본다. 그 이유는 1822년 7월 15일에 성균관 전적을 임명받고 6일 후인 21일에는 양현고 주부를 임명받았으나 역시 부임하지 않는데 이규진이 이 해에 사망하였기 때문이다.
배재홍, 『退溪學과 韓國文化』39, 경북대 퇴계학 연구소, 2006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승정원일기』,
『응와 선생 문집』,
서은주

상세정보

1822년 7월 21일, 국왕이 이규진통훈대부 행 성균관 전적 겸 양현고 주부로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내용 및 특징
1822년(순조 22) 7월 21일에 국왕이 이규진통훈대부 행 성균관 전적 겸 양현고 주부로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이다. 발급일자 위에 어보인 ‘施命之寶’가 답인되어 있다.
성균관은 조선시대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에 설치한 국립대학격의 유학교육기관이다. 太學 · 泮宮 · 賢關 · 芹宮 · 首善之地라고도 하였다. 성균관에 소속된 관직 가운데 典籍은 정6품으로 13員이 정원이었다. 양현고는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들의 식량·물품 공급을 담당한 기관이다. 양현고에 소속된 관직 가운데 主簿는 종6품 낭관으로 성균관 전적 중에서 1員을 單付하여 임명하였다. 通訓大夫는 문관 정3품 하계에 해당하는 품계 명칭으로 당하관의 최상이다. 품계와 관직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行守法에 따라 관직이 품계보다 낮은 경우인 ‘行’을 품계와 관직 사이에 썼다.
국왕이 명령을 내린 일자는 도광 2년(순조 22) 7월 21일이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이 일자에 再政을 열어 성균관 전적 이규진양현고 주부에 單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규진은 36세인 1799년(정조 23) 9월 문과에서 장원급제 한 뒤 성균관 전적(정6품), 병조 좌랑(정6품), 사헌부 감찰(정6품)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도 약 5년 만에 승의랑(정6품), 조봉대부(종4품)를 거쳐 당하관의 최상인 통훈대부(정3품)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1804년(순조 4) 2월 13일에 강원도 도사(종5품)라는 외관직을 임명받고서 아버지의 병환으로 인해 부임지로 떠나기 어렵다는 이유로 사직서를 제출한 이후엔 正史기록에 그의 이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계속 고향인 성주에 머무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7년 뒤인 1811년(순조 11) 3월 17일에 종부시 주부(종6품)의 임명을 받고 한 달 뒤인 윤3월에는 久任官인 병조 정랑(정5품)을 제수 받는다. 그러나 이규진은 5개월 뒤인 8월 11일에 병으로 인한 사직서를 제출해서 임금의 허락을 받게 된다. 이후 사헌부 감찰(정6품), 사직서 령(종5품), 사헌부 지평(정5품)에 임명되었으며 1813년(순조 13) 5월 10일에는 사헌부 장령(정4품)으로 임명받게 된다. 그러나 이규진은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계속해서 고향인 성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몇 년간 수차례 사헌부 장령을 임명받기도 하고, 은율 현감(종6품), 해주 진관 병마절제도위(종6품), 춘추관 기사관(종6품), 사간원 정언(정6품)을 임명받기도 하였으나 이규진은 계속해서 상경하지 않고 재외에 남아 있는다. 이렇듯 계속해서 관직부임을 고사하는 것은 아마 노환 때문에 관직생활을 영위하기가 힘들어서였을 것으로 추측해 본다. 그 이유는 1822년(순조 22) 7월 15일에 성균관 전적을 임명받고 6일 후인 21일에는 양현고 주부를 임명받았으나 역시 부임하지 않는데 이규진은 이 해에 사망하였기 때문이다. 향년 59세이다.
이규진(1763~1822)은 本貫은 星山이다. 字는 而拱이며 號는 農棲이다. 父는 李敏謙이고 祖父는 李碩文이다. 거주지는 星州이며. 鄭宗魯의 문인이다. 1783년 式年試 3등으로 생원에 합격하여 1799년 謁聖試 장원으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왕으로부터 朱子書百選을 상으로 받았다. 左贊成에 증직된다. 유고가 전한다.
배재홍, 『退溪學과 韓國文化』39, 경북대 퇴계학 연구소, 2006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승정원일기』,
『응와 선생 문집』,
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2년 이규진(李奎鎭) 고신(告身)

敎旨
李奎鎭通訓
大夫行成均館
典籍兼養賢庫
主簿

道光二年七月二十一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