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83년 이규진(李奎鎭) 백패(白牌)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A.1783.1100-20130630.E4784003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백패
내용분류: 정치/행정-과거-백패
작성주체 정조, 이규진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783
형태사항 크기: 92 X 4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83년 이규진(李奎鎭) 백패(白牌)
1783년(정조 7) 10월 3일, 국왕이 이규진에게 생원 3등 제5인으로 합격한 것을 증명하여 발급한 생원시 합격증서이다. 생원 · 진사시에서는 100인을 뽑았는데, 1등이 5명, 2등이 25명, 3등이 70명이다. 이규진은 생원시에 3등 제5인으로 합격하였으므로 이는 전체 100인 중 35등으로 합격하였음을 의미한다.
배재홍, 『退溪學과 韓國文化』39, 경북대 퇴계학 연구소, 2006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조선시대 생원진사 연구』, 최진옥, 집문당, 1998
『승정원일기』,
『응와 선생 문집』,
서은주

상세정보

1783년 10월 3일, 국왕이 이규진에게 생원 3등 제5인으로 합격한 것을 증명하여 발급한 생원시 합격증서
내용 및 특징
1783년(정조 7) 10월 3일 유학 李奎鎭이 生員試에 3등 제5인으로 합격하였음을 증명하는 백패이다. 발급일자 위에 ‘科擧之寶’가 답인되어 있다.
생원시는 진사시와 더불어 조선시대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본래의 목적으로 실시한 과거이다. 소과 또는 사마시라고도 한다. 생원시는 五經義와 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경전에 관한 지식을, 그리고 진사시는 賦와 詩의 제목으로 문예창작의 재능을 각각 시험하였다. 그리하여 합격자에게 생원 또는 진사라고 하는 일종의 학위를 수여하였다.
문무과[大科]가 33인을 뽑는데 비해 생원 ․ 진사시에서는 100인을 뽑았는데, 1등이 5명, 2등이 25명, 3등이 70명이다. 이규진은 생원시에 3등 제5인으로 합격하였으므로 이는 전체 100인 중 35등으로 합격하였음을 의미한다. 뒷면 표지에는 황색 종이 위에 ‘幼學李奎鎭生員三等第五人’을 한 줄로 써서 생원시 급제자의 당시 신분, 이름 및 성적을 표시하였는데, 생원시 합격 당시 이규진은 幼學의 신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일화에 따르면, ‘이규진1783년(정조 7) 10월 3일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는데, 지은 글이 製課에 으뜸으로 뽑혔다. 임금[정조]이 이규진의 이름을 가리키며 신하에게 묻기를 "누구인가?" 하니 "이석문의 손자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임금이 특별히 입시하도록 하여 "너의 조부가 세운 공이 가상하다." 하고 또 영의정 채제공에게, "북쪽 대문이 아직도 있는가?" 라고 하문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합격 당시 이규진의 나이는 20세였다.
李碩文(1713~1773)은 본관은 성산, 字는 士實이며 號는 遯齋이다. 父는 李爾紳이다. 거주지는 성주이다. 1739년 무과에 급제하여 宣傳官을 지냈다. 1762년 휘령전에 왕을 호종하여 간신을 불러들이고, 세손을 업고 사도세자의 구명을 꾀하였으나 왕이 돌로 뒤주를 누르라는 명을 내리므로, 이를 거역하여 곤장을 맞고 벼슬에서 물러났다. 집으로 돌아와 북쪽으로 대문을 내고 대궐을 향하여 매일 새벽 재배하니 사람들은 그를 北扉公이라 불렀다. 죽은 후 병조참판에 증직되고 1899사도세자를 장조로 추숭할 때 고종이 그 충성을 표창하여 제관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고 그 6대손에게 벼슬을 내렸다.
이규진(1763~1822)은 字는 而拱이며 號는 農棲이다. 父는 李敏謙이며 祖父는 李碩文이다. 거주지는 성주이다. 鄭宗魯의 문인이다. 1783년 式年試 3등으로 생원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였고 1799년 謁聖試 장원으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왕으로부터 朱子書百選을 상으로 받았다. 左贊成에 증직되었다. 유고가 전한다.
배재홍, 『退溪學과 韓國文化』39, 경북대 퇴계학 연구소, 2006
鄭求福, 『古文書硏究』 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유지영, 『古文書硏究』 30, 한국고문서학회, 2007
 『조선시대 생원진사 연구』, 최진옥, 집문당, 1998
『승정원일기』,
『응와 선생 문집』,
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83년 이규진(李奎鎭) 백패(白牌)

敎旨
幼學李奎鎭生員三等第五
人入格者
乾隆四十八年十月初三日
幼學李奎鎭生員三等第五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