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0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90.4717-20120630.00632570065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만인, 김병황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90
형태사항 크기: 77.3 X 22.4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90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1890년 3월 27일, 이만인이 안부를 묻기 위해 처조카인 김병황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당신과 당신 가족들의 안부를 묻고 김병황의 재종조가 죽은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어서 자신은 지난달 천전에 가서 임하구곡 등 류적지를 돌아보고 류도원이 편집한 우리 선조의 문집을 교정하여 편지를 보냈다고 하였다. 또한 처남인 조국윤북경에서 지금 막 돌아온 것, 형의 소식, 질(姪)과는 반촌에서 만날 것이라는 사실을 전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90년 3월 27일, 이만인천전에 가서 임하구곡 등을 감상하고 돌아와서 처조카인 김병황에게 자신의 근황을 전하는 편지
내용 및 특징
1890년(高宗 27) 3월 27일, 李晩寅川前에 가서 臨河九谷 등 유적지를 돌아보고 돌아와서 처조카인 金秉璜에게 자신의 근황을 전하는 편지이다.
渭瑞는 김병황의 자로, 편지를 쓴 이만인에게는 처조카가 된다. 이만인김병황과 계속 엇갈리는 상황에 대해 아쉬움을 서두에서 표현하고 있다. 김병황의 모친과 형제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이 노년을 앞에 두니 같이 나이 들어가는 김병황도 염려가 된다고 하였다. 당시 이만인은 57세, 김병황은 46세로 김병황 역시 장년의 나이를 넘어서고 있었기에 이런 말을 한 것이다. 또 젊은 시절 함께 어울리던 김병황의 재종조가 오랜 지병으로 갑자기 돌아가시어 매우 침통하다고 하였다.
자신은 지난달에 川前에 있는 나이 많은 고모에게 문후 드리고 여러 벗들과 臨河九谷을 거슬러 올라가며 경치를 감상하고, 李玄逸(1627~1704)의 류적이 있는 錦水檀所에 갔다가 鄕飮酒禮를 행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朴谷에 있는 全州柳氏의 사당에 돌아가 대략 蘆厓翁 柳道源이 편집한 우리 선조의 문집을 교정하여 편지를 보냈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류도원이 교정한 책은 바로 『退溪先生文集攷證』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십 일 정도를 여러 곳 다니다가 돌아와 큰집 종조부를 玉山의 두메산골에 이장하느라 피로하다고 하였다.
지금 처남 趙國胤이 燕나라 太子丹의 옛 고향에서 돌아왔다고 들었다고 하였는데, 바로 北京에서 돌아왔다는 말이다. 모레 가서 볼 생각이라고 하면서, 분주히 달려가 보는 것은 나이든 사람이 감당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세상사에 정신을 쏟고 한 달이 넘도록 쌀과 소금을 쓰는 것에 비하면 나쁘진 않다고 하였다. 근래 상대방이 사는 지역에는 大同禮가 성대하게 행해지고 있으니 좋은 일이라고 하면서, 다만 점진적으로 일을 추진하지 않고 급하게 서두르다보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조언을 하고 있다.
북쪽의 손님이 언제 돌아갈지 모르겠지만 서울 가는 김병황과는 공교롭게 어긋나니 조만간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그리고 彦兄은 편하게 지내고 있으며 馨姪은 행장을 꾸렸으니, 마땅히 泮村에서 만날 것이라고 하였는데, 彦兄과 馨姪은 이름에 ‘彦’과 ‘馨’이 들어가는 사람으로 정확하게 누구인지를 알 수 없다.
마침 김병황이 사는 지역의 손님이 돌아가기에 그 편에 편지를 부친다고 하였다. 그리고 작년 12월에 친척을 통해 김병황에게 분명히 편지 한 통을 부쳤는데 자신에게 답장을 안 보낸다고 하니, 혹 기억을 못하는 것인지 아니면 친척이 제대로 전하지 못한 것인지 확인하라고 하였다.
李晩寅(1834∼1897)의 자는 君宅이고, 호는 龍山이며, 초명은 李晩濩이다. 본관은 眞城으로, 退溪 李滉의 후손이다. 1872년(高宗 9) 과거 공부에 대한 뜻을 접고 학문 연구에 힘썼다. 1881년(高宗 18) 嶺南萬人疏 상소문의 원본을 작성하였다. 저서로 『龍山文集』이 있다. 이만인의 부인은 김병황의 고모이다.
김병황(金秉璜 ; 1845~1914)의 자는 渭瑞이고 호는 雲齋, 본관은 豊山, 斗欽의 손자이며 통덕랑을 지냈다.
柳道源(1721∼1791)의 자는 叔文, 호는 蘆厓로, 본관은 全州이다. 참의柳觀鉉의 아들로, 참의柳升鉉에게 입양되었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과거를 보지 않고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蘆厓集』, 『退溪先生文集攷證』, 『日警錄』등이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0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渭瑞 追謝上

扐月書 又作不報之際 每苦
巧値 遂成積逋 可乎 慙悚不可
言 卽今春已闌矣 不審
萱闈耋候無損 懽履平安
否 東隅之失 過境也 桑楡在前 又
當鼓勇 未知定算 在何間
賢亦衰境 殊可念
尊再從祖丈 久病 遽尒不起
親懿沈痛 曷任 回顧東床追從 存
者無幾 輒爲之悵然 晩寅 前月修
老姑母于川前 隨諸勝後 沿溯
河九谷
飽賞烟霞水石 往錦水檀
所 徘徊 感慨于葛翁遺躅 因行鄕
飮之禮 歸朴谷柳氏社 畧約校蘆厓
翁 所編吾先祖文集攷證 書送 數旬
始還 因行伯祖考緬厝于 玉山絶峽
憊矣 間始少收 而方聞內弟 趙國胤
歸自 燕丹故國 擬以再明往見 奔走
馳逐 非老者可堪 而較之疲精塵冗
滿月米鹽 則亦自不惡也 聞貴鄕近
有大同盛禮 七十年戈戟之場 便
成揖讓之局矣 豈不誠好事美意
而但恐作事 無漸 其進太銳 遂至於
措敵國之戈 而入同室 彎越人之弓
而向兄弟 則其得失未易言也 北客歸
轅 未知的在那間 必與西旆 巧値
一面之諧 早晏未可卜 彦兄 穩享 馨
姪 理裝 當邂逅於泮邸也 適因仁
里客歸 不宣追謝
客臘 因戚君歸 分明付一函 而前書
責以兩書無答 豈賢或忘了耶 此
君或失傳耶 更思之
庚人三月念七 姻下 晩寅 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