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82.4717-20120630.02592570002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준상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82
형태사항 크기: 22 X 36.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년 3월 1일에 김준상이 신행과 관련된 내용을 전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이다. 일전의 예식 자리에서 상대방의 종씨 형을 만나 편안하게 지낸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고 하면서, 그 후의 안부와 종씨 형이 잘 도착했는지를 물었다. 사위가 된 상대방의 아들을 칭찬하고 자신의 딸이 사위보다 부족해서 부끄럽다고 하였다. 俗節은 상대가 어떻게 양해해 주느냐에 달렸다고 하면서, 再邀 때는 속례를 쓰려고 하였으나 마침 구애받는 바가 있고 또 정상적인 예만 못하겠기에 送還하고 상황을 지켜볼 따름이라고 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882년 3월 초1일, 김준상이 안부 인사와 신행과 관련된 내용을 전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82년 3월 초1일에 査弟 金儁相(1836-1903)이 안부 인사와 新行과 관련된 내용을 전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이다.
새로 맺은 사돈에 대한 그리움이 깊다가 日前의 禮席에서 잠깐 상대의 從氏 형을 통해 평안하다는 것을 알았다고 하면서, 그 후의 안부와 從氏 형이 어제 잘 도착했는지를 물었다. 상대의 아들의 훌륭함을 칭찬하면서 그 배필인 자신의 딸이 그 서방만 못해서 부끄럽다고 하였다. 이른바 俗節은 상대가 어떻게 양해해 주느냐에 달렸다고 하면서, 再邀 때는 俗例를 쓰려고 하였으나, 마침 구애받는 바가 있고 또 정상적인 예만 못하겠기에 送還하고 상황을 지켜볼 따름이라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省式 孤違新好之晤 覺倍舊戀之
懷 日前禮席 承款從氏兄 詢審
都候一晏 稍慰耿耿者乍矣 便后夜落
伏惟玆際
萱闈鼎茵 莫無減損節
侍奠餘僉哀體履支相 從氏兄昨日
行李 無撓利稅 幸鮮勞頓之害 都
芘亦依前聞否 旋切溸仰 査弟 孤露餘
喘 遭此新境 種種爲感 益覺酸惊 惟
允郞丰儀淸秀 劇受門欄之賀 日
來佳況 莫與是景耳 所可汗者 自知
其配之不如所事也 所謂俗節
都不欲提說張皇 惟恃哀執事知仲善
恕之如何耳 再邀初
擬用俗例因之 適
有所拘 且不如經例
之爲得 玆以送還
當觀勢爲蚤晏
圖耳 餘萬 遑擾 不
備䟽禮 伏惟
哀照 謹拜䟽上
壬午 三月 初吉 査弟 金儁相 䟽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