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1년 남만형(南萬亨) 외 1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71.4773-20120630.0487257000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남만형, 남조환
작성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작성시기 1871
형태사항 크기: 29 X 4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1년 남만형(南萬亨) 외 1인 서간(書簡)
1871년 9월 21일에 윤곡남만형, 남조환 이 갈암 이현일 선생에게 시호가 내려진 것을 축하하기 위해 저곡의 재령이씨 문중에 보낸 편지이다. 이현일 선생에게 시호가 내려진 일에 대한 축하의 말을 전하고, 안부를 물었다. 자신들이 직접 가서 축하하지 못하고 문중 한 사람을 대신 보내고 찬조 물품도 1전뿐이라 부끄럽다고 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871년 9월 21일, 윤곡남만형 외 1인이 이현일 선생에게 시호가 내린 것을 축하하기 위해 저곡의 재령이씨 문중에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71년(고종 8) 9月 21日에 尹谷南萬亨, 南朝煥 이 葛庵 李玄逸(1627-1704) 선생에게 諡號가 내린 것을 축하하기 위해 楮谷의 載寧李氏 문중에 보낸 편지이다.
葛庵 李玄逸(1627-1704) 선생에게 諡號가 내린 것을 축하하고, 안부를 물었다. 자신들이 마땅히 나아가서 축하해야 하지만, 그러지 못하고, 문중의 1인을 대신 보내고 찬조 물품도 1錢에 그쳐 부끄럽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1년 남만형(南萬亨) 외 1인 서간(書簡)

楮谷 僉座下 入納
尹谷南生謹候書 謹封
伏惟我
先生美諡
寵命 至有對揚之日 爲國
家爲儒林 讚歎慶抃 曷
有其極 不審日來
僉體候動止晏重 區區詹
溸之至 生等 自顧分誼 竭蹷趨
賀之不暇 而各汨憂冗 末由遂
忱 只有門內一員 事甚零星
仰備之物 不過壹錢而止 尤不覺
愧恧 餘 惟冀
僉照在 謹候狀
辛未九月二十一日 南萬亨 朝煥 等拜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