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0년 최영록(崔永祿)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60.4784-20120630.E4784038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최영록, 이원조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작성시기 1860
형태사항 크기: 25 X 4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0년 최영록(崔永祿) 서간(書簡)
1860년 4월 28일, 최영록이 유림의 분쟁에 대한 의견을 내기위해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일전에 회연서원에서의 모임은 좋았으나 그 이후 자신은 허리가 많이 아프다며 자신의 병을 토로하고 도천의 모임에 참석할 수 있는지 걱정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늙은 자신의 안목으로는 일을 해결하기 어려우니 훗날에 안목을 갖춘 자가 나오기를 기다리는 게 좋겠다고 하며 상대를 위로한다. 그리고 시문을 가르치는 일은 상대가 받아들여 주기를 바란다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60년(철종11) 4월 28일, 노포의 복인 최영록이 유림의 분쟁에 대한 의견 진술차 한개의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60년(철종11) 4월 28일, 鷺浦의 服人 崔永祿(1793-1871)이 유림의 분쟁에 대한 의견 진술차 한개[大浦]의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일전의 淵上(檜淵書院)에서의 모임은 나름대로 좋은 일이었으나 깊은 대화를 나누지 못해 섭섭했다고 하면서, 자신은 그날 이후 허리가 두드려 맞은 것처럼 아프니, 70년 인생에 남은 것은 병뿐이라고 슬픔을 토로하였다.
道川의 모임은 이미 그 本孫에게 승낙했으니 의리상 사양할 수 없으나 병 때문에 참석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그러나 어리석은 그는 世情에 익숙지 않아 걸핏하면 비방을 들었는데, 늙어갈수록 더 심해지니, 그런 안목으로는 언어의 이면을 살피고 문자를 가려 뽑아내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하면서, 그저 훗날에 안목을 갖춘 자가 나오기를 기다리는 게 좋겠다고 상대의 기분을 위로하였다. 時文을 가르치는 일은 鄕論도 이의가 없고, 輿望이 쏠리는 바이니, 받아들여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0년 최영록(崔永祿) 서간(書簡)

大浦 台座 執事
鷺浦候書 省式謹封

省式 日前淵上之會 阻餘勝事 但說未對得
自家分上 只是尋常面款而已 歸來悵缺 想
一般矣 不審旱炎乍酷
服候若何 旋節均穩 仰溯仰溯 永祿 在彼所
困 腰脊痛 時作時止 有若撞打瘀困者然
未知老衰者 例有是苦否 七十年虛喫光陰
徒得此等疾祟 良可自憐 道川會事 旣
許其本孫 義不敢辭 但賤祟如此 果能堪做
乘馬之勞否 可慮可慮 雖然以渠愚陋 不習
世情 動輒得謗 自是常茶飯 其奈老去莫
甚 何察於言談之間 抉摘於文字之中 已不勝
其困苦 所可望者 日後百年 倘得揚子雲補
其意 聊可自寬耳 專恃眷厚 語涉妄發
幸休咎焉 敦文鄕意 無異同 此是輿望所
注 幸容領也 餘 非久面款 姑不宣 伏惟
下照
庚申四月卄八日 服人 崔永祿 拜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