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0년 이수응(李秀應) 위장(慰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60.0000-20120630.E4784069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작성주체 이수응, 이원조
작성시기 1860
형태사항 크기: 31 X 44.5
장정: 낱장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0년 이수응(李秀應) 위장(慰狀)
1860년 4월 7일, 이수응이 상을 당한 이원조에게 보낸 위로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큰 형 이원호가 세상을 떠난 것을 위로하고 당신의 안부를 묻고 있다. 이어서 자신은 며느리의 장사를 잘 마쳤으며 노림서원 안산에 투장한 변고가 발생했으니 감영에 친분이 있는 당신께서 도와주시기를 바라고 문상가지 못함을 사과하고 있다. 또한 先亭에 관한 일은 자기네 쪽 모두 동의하며 삼계서원에 통문을 발송하여 사당을 세울 것을 청하였고, 지난 달 10일 쯤에 청성에서 모임을 갖기로 하였다는 사실을 전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60년(철종11) 4월 7일, 이수응이 친형의 상을 당한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위로 편지
내용 및 특징
1860년(철종11) 4월 7일, 李秀應이 本生兄의 상을 당한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위로 편지이다.
상대방 伯氏 老兄인 李源祜가 세상을 떠난 것을 위로하고,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어른의 병 때문에 노심초사 하고 있고, 봄 초에 子婦의 喪을 당해 장사를 마쳤다고 하였다. 魯林書院 案山에 偸葬한 변고와 관련하여 근래에 다시 營門에 글을 올려 파내려고 하는데, 營門에 친한 사람이 있는 상대가 적극 협조해 주기를 청하였다. 伯氏兄의 喪事 후에 직접 가서 문상하지 못하고 편지로 대신하게 됨을 다시 사과하였다.
別紙가 있다. 先亭에 관한 일은 지난겨울에 상대가 論定한 것이 타당하여 大平과 자기네 쪽 모두 이의가 없다고 하고, 불행하게도 이면의 사정을 알지 못하는 선비들이 비용을 아껴 반대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말하였다. 正初에 三溪書院에서 通文을 발송하여 사당을 세울 것을 청하였고, 지난 달 10일 쯤에 靑城에서 모임을 갖고 내년, 후년쯤에 우선 건립하고 나서 청하기로 결정을 했는데, 大平도 늙었고 상대도 멀리 있어 서로 만날 길이 없는지라 편지에 첨부해서 보낸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0년 이수응(李秀應) 위장(慰狀)

狀上
李參判 降服座前 省式謹封

省式言 不意德門凶禍
伯氏老兄奄忽違世 承訃驚怛 不能已已 伏惟
暮年相仗之餘 悲痛沈慟 不但尋常孔懷之痛而
已 何可堪任 襄禮已過 想尤無以慰懷 悲溯不任 不
審漸熱
台體動止 對序神衛 子舍孫房 次第均迪 咸
哀 棣履持嗇否 區區溯迬之至耳 朞服弟 耋候
常欠全安 已極煎懼 而春初又遭子婦喪 已掩之
土中 私情轉益悲苦 奈何 就魯林書院案山
偸埋之變 台執事聞之已熟矣 近欲更呈營門
某條得題 爲掘去之計 而營門無聲息可通之
路 聞台座於此營甚親熟 玆俱前後文案
定送儒生 而先造高軒 細考文蹟
構成一狀 且緊托營門 得掘移二字 則
此有一條 倖望千萬勿孤如何 伯氏兄喪事後
合有晉慰 而道途稍濶 老者之行 亦難如意 今玆因
遞付慰 殊非平日相
與之誼耳 愧歎愧歎
餘 不備 伏惟
台下察 謹狀上
庚申四月初七日 朞服弟 李秀應 狀上
先亭事 前冬
台論 實是擺落塵舊之議 所以大平及鄙
邊 誠無異意矣 不幸士論 往往多不一 蓋
不識裏面 只吝其費了如干所拮据者也
正初自三溪發通 直請建廟 春間紿修
又繼之 已於去月旬間 爲靑城一會 以明再
明年間 爲先建後請之地 輿議不可遏 而
已老矣
台又遠矣 無由合席更宿 只增冥途擿
埴之歎 想是所欲聞者 故玆夾告 覽
卽取火之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