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0년 정유성(鄭裕成)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60.0000-20120630.E4784041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유성, 이원조
작성시기 1860
형태사항 크기: 30 X 40.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0년 정유성(鄭裕成) 서간(書簡)
1860년 윤3월 그믐날에 정유성이 가족들의 병세를 전하며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의 하인이 병으로 남아있어 자신으로서는 소식을 자주 듣게 되어 다행이라고 하며 상대방 가족들의 건강함을 부러워한다. 이어서 자신의 아내는 병이 위독하고 학질, 감기에 걸린 자들이 늘어나 걱정이 크다고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 속 있는 것보다 나을 것 같아 손자를 대구에 보냈는데 그 행차가 걱정 된다고 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60년(철종11) 윤3월 그믐날, 정유성이 슬하의 병세를 전하고자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60년(철종11) 윤3월 그믐날, 梅谷의 服人 鄭裕成이 슬하의 병세를 전하고자 寒浦의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상대 쪽의 하인이 병으로 낙오되어 있는 바람에 탐문하는 사람이 자주 오게 되니, 자신으로서는 소식을 자주 듣게 되어 다행스럽다고 하고, 자신에 비하면 훨씬 건강한데다 다른 가족들도 무탈한 상대를 부러워하였다. 자신은 아내의 병이 위독해져서 온 집안이 불안해하고 있으며, 손님이 간 다음이라서 그나마 다행이라고 하였다. 또한 학질, 감기에 걸린 자들이 늘어나는데다, 상대 쪽에서 온 하인조차 병이 나서 더욱 걱정이라고 하였다.
아내의 병과 아이들의 건강은 다소 회복되었다고 하면서, 이런 때 손자의 達行은 그다지 긴요하지는 않으나, 병 구덩이 속에서 위축되어 있는 것보다는 나을 것 같아 보내기로 했다고 하였다. 禮書를 싸서 보내는데, 비가 올 듯 하여 걱정이라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0년 정유성(鄭裕成) 서간(書簡)

寒浦 台座下 執事 回納
梅谷 服弟 謹謝狀上 省式謹封

省式 落後隸 尙未差還 謂不能付弟渾忘 則必有探使 果如
所料 緣此得聞稅御消詳 弛慮可幸 第伏審
台體不無勞攘 虎周公其已衰耶 然而比此身 可謂强壯 歎
羨歎羨 餘節安吉 尤聞如別世界 自顧倍覺不平 弟服人 病
狀保舊 如水和水 內憂近又添谻 危狀迫頭 渾室驚惶 無晝
無夜 其亦幸而出於送客之後也 弟旣終始沈淹 其餘病
瘧者 病感者 若蝟集毛亂 而貴隸隸病 尙不向痊 亦添一
騷撓 苟無他憂 隨力救護而已 安足爲緊苦 而風雨窠中 別作
偏蕩 不無添撓 且其性怪且誤 飮食藥治 不肯受同列之效力 所以兒
曺之晝夜薰迫之中 又添一職事 不無皺眉 中間殆有急勢
今則優入入九分人 然其自旋踵 則未也 自再昨思食甚切當 日漸蘇解
補氣如何 然而殺飯之人 何托深瘞 奉書不覺大噱 不久當
使之寸寸進去詣門之日 倘灑水散飯符呪 讀逐鬼
經耶 捧腹捧腹 內患日間 兒輩履稍正 然猶未可以向痊言耳
似無憂蕩 何可盡言 此際孫兒行 不甚
緊也 但積陷憂窟 氣皆縮矣 欲使揚
眉伸氣 振衣刷翮
於衆會中故耳 其
得失何可論耶
禮書裹呈 然似有
雨意 恐以爲慮耳
餘 病吟艱書 不備 伏惟
庚申閏三晦日 弟 服人 鄭裕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