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9년 강두준(姜斗俊)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49.0000-20120630.E4784079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강두준, 李源祚
작성시기 1849
형태사항 크기: 33.5 X 4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49년 강두준(姜斗俊)서간(書簡)
1849년 12월 그믐날, 상지강두준이 문안차 사돈인 경주부윤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편지를 받게 되어 기쁘다는 것을 표현하며 자신의 아버지가 연로하시고 작년 이맘 때를 생각하면 마음이 좋지 않다고 하였다. 이어서 딸 아이는 종종 병에 걸려 가엽고 당신께서는 고과에서 좋은 등급을 받을 것이라는 소문을 들었으니 미리 축하한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49년(철종즉위) 12월 그믐날, 상지강두준이 문안차 사돈인 경주부윤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49년(철종즉위) 12월 그믐날, 上枝姜斗俊이 문안차 사돈인 慶州府尹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세밑이 되어 그리웠었는데, 뜻하지 않게 인편으로 편지를 받게 되어 감격스럽다는 것과, 편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기쁘다는 것을 말하였으며, 暗行御史가 소란을 끼치는 것이 그럴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査弟인 자신은 어버이께서 연로하시어 일희일비하고 있고, 작년 이맘때의 기억에 마음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말하였다. 女阿의 병이 종종 걱정을 끼친다고 하니, 매우 가엽다고 하고, 考課에서 좋은 등급을 받을 것이라는 소문을 듣고 미리 축하 인사를 전하였다.
강두준이원조의 둘째 아들인 이기상(李驥相,1826~1903)의 장인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9년 강두준(姜斗俊)서간(書簡)

東都政閣執事
上枝査弟謝狀 謹封

歲色將盡 瞻仰政苦 匪意伻
到 伏拜
惠狀 感慰之餘 謹審
政候動止萬衛 眷衙諸節
從爲平吉 是用慰賀 而繡行之
貽擾 安得不如是否 査弟 逼此
餞迓 奉侍情界 喜懼交切 且當
昨年此時 懷緖甚惡 柰何 女阿
病狀 種種貽慮 聞甚悶憐
褒題大闡 有聞於隣邑 雖是
預料 而不勝獻賀耳 餘 惟
祝餞迓萬祉 不備禮
己酉臘月晦日 査弟 姜斗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