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7년 조구식(趙龜植)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47.0000-20120630.E4784079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조구식, 李源祚
작성시기 1847
형태사항 크기: 35.5 X 4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47년 조구식(趙龜植) 서간(書簡)
1847년 7월 4일, 이웃고을 수령인 조구식자산부사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늦더위에 상대의 안부를 믿고 자신의 어버이는 잘 계시나 본인은 더위를 먹어 견디기 어렵다고 하였다. 상원(上院)의 경판(瓊板)은 내산(奈山)으로 가지 못해 언제 완료할지는 모르겠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47년(헌종13) 7월 4일, 이웃고을 수령인 조구식이 문안과 부탁받은 上院의 板刻 건에 대한 답변차 자산부사로 있는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47년(헌종13) 7월 4일, 이웃고을 수령인 趙龜植이 문안과 부탁받은 上院의 板刻 건에 대한 답변차 慈山府使로 있는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늦더위에 안부를 묻고, 자신은 어버이는 잘 계시나 본인은 宿暑가 재발하여 견디기 어렵다고 하였다. 부탁받은 上院의 瓊板은 奈山으로 가지 못해 언제 완료할지는 모르겠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7년 조구식(趙龜植) 서간(書簡)

慈山政閣下執事入納
隣吏謹上候 龜恪

間頗阻候 悵詠恒勞 伏詢老炎
視政令體事萬晏 伏
溸區區不任勞祝 記下生 親
節粗安 私幸 第賤
軀宿暑肆發 實難支
吾 苦悶苦悶耳 上院瓊板
旣承
盛托 然奈山行未果 奉
期亦未可預料 玆是呈
伏切悚歎
恕諒如何 餘 姑不備 伏

下照 上候狀
丁未七月初四日 記下生 趙龜植 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