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2년 이승구(李昇九)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42.1100-20120630.E4784045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승구, 이원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842
형태사항 크기: 35 X 5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42년 이승구(李昇九) 서간(書簡)
1842년 2월 10일, 구계이승구가 집으로 돌아간다며 제주목사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오랫동안 소식을 하지 못했는데 이렇게 편지를 받으니 위로되고 봄에 정사보시는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걱정스럽다고 하고 있다. 또한 지난번 자신이 성(城)에 들어갔을 때 당신께서 가르침과 선물을 주셔서 감격스러웠는데 자신까지 신경 써 주시니 더욱 고맙다고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집으로 돌아가게 되어 경저리에게 편지를 맡기고 간다고 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42년 2월 10일, 이승구가 안부를 묻기 위해 제주목사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42년 2월 10일, 이승구가 안부를 묻기 위해 濟州牧使로 있는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1년여 만에 편지를 받고 위로됨을 이야기 하고 봄철의 안부를 물었다. 지난번 城에 들어갔을 때 뜻하지 않게 정중한 가르침을 주시고 선물까지 주시어 감격스러웠다. 더구나 섬의 농사가 흉년이라 백성들 구휼하기도 바쁠 텐데 멀리 있는 자신까지 신경을 써 주니 더욱 고맙다고 하였다. 日間에 또 집으로 돌아가게 되어 京邸에다 편지를 맡겨 두고 간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2년 이승구(李昇九) 서간(書簡)

營 銊下 下執事 回納
龜溪 李生 上候書 省式謹封

隔世阻候 悵慕政切 伏承
下札 雖經歲信候 伏慰萬萬
近又春序將半 花煦始暢
伏不審
視篆體候若時萬康 衙內
諸節 信得穩重否 本第安候
似多阻閡 遙外貽憂 尤切伏
溯 記下生 日昨適入城闉 身姑免
恙 伏幸 下段敎示 辭意
鄭重 兼有下惠者 不勝感
佩 而旣未得陪過 則此是素餐
便覺發騂 敢望其優數耶
且況島農告歉 民憂難
暇 有此遠及之盛念 如非眷愛
之至 豈可如是耶 日間又將還
家 故付候京
邸 以待去禠 伏未何間
下覽也 餘 伏

體候隨時萬
安 不備 伏惟
下覽 上候書
壬寅二月十日 記下生 李昇九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