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6년 김유헌(金裕憲)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26.1114-20120630.E4784077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유헌, 이원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중구
작성시기 1826
형태사항 크기: 32 X 4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6년 김유헌(金裕憲) 서간(書簡)
1826년 8월 12일, 차동교리김유헌이 과거 인사 청탁차 결성현감으로 있는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이야기한다. 이어서 당신께서 과거를 주관하게 되실 텐데 공주炭翁 댁에 권서라는 사람이 50세가 되도록 등용되지 못하고 있으니 당신께서 이러한 사실을 잘 유념해 달라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26년(순조26) 8월 12일, 차동교리김유헌이 과거 인사 청탁차 결성현감으로 있는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26년(순조26) 8월 12일, 車洞校理金裕憲(1781-?)이 科擧 인사 청탁차 結城縣監으로 있는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초가을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京鄕의 우환 때문에 괴롭게 지내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간절히 부탁할 말이 있다고 하였다. 가을 都會 때 상대가 제일가는 儒者이기 때문에 試官의 苦役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하고서, 公州炭翁 댁에 權垿라는 碩儒에 대해 극찬을 하면서, 湖西 지방에서 알아주는 문장인데도 50세가 되도록 등용되지 못하고 있으니, 試官을 맡게 되면 빠뜨리지 않도록 잘 유념해 달라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6년 김유헌(金裕憲) 서간(書簡)

結城仁閣執事入納
車洞金校理候書 謹封

早夏飛鳬 未能躬將 尙餘
江樹之情 伏惟凉生
政候動靖晏安 鄕信間得
平候 豊歲快紓民憂 區區仰溯
不已 弟 無騎成懶 閉戶成病 京
鄕憂故 從而惱心 棄勿足道 故
人安能盡諒 美赴時若相握 則深
有欲懇事 今不得已書告矣 秋後
都會 兄當免不得苦役 須知第一
一儒也 公州炭翁宅 有碩儒權垿
中文章也 尤善搔賦 應擧執
以賦 然弟之所稽首誠服者 各一人
一人已小成 獨此友尙餘 年今五十矣 公
處無不可 兄若卒然拔出於當日之卷〔券〕 則
兄之神鑑也
陸宣公
昌黎之不貳
過策 此殆而之
道也 然則預先
用念 物色之
搜訪之 亦
兄之風流也 弟之
此薦 金秤上秤
出也 他人薦千萬
人 此後 弟復薦
千萬人 皆風斯
下也 諒之也 委
此仰申 不暇他及
不備 伏惟
兄照 謹候書
丙戌八月十二日 弟 裕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