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6년 정덕화(鄭德和)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26.1114-20120630.E4784056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덕화, 이원조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중구
작성시기 1826
형태사항 크기: 36 X 45.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6년 정덕화(鄭德和) 서간(書簡)
1826년 7월 4일, 정덕화결성현감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번 이별한 뒤 당신이 그리우며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공무 때문에 병이 나서 고생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당신이 다스리는 고을 광종면이호(梨湖)에 사는 이춘로는 자신과 절친하고 음애 이자의 현손이자 옛 판서 조덕윤의 사위니 잘 돌봐달라고 하였다. 또한 답장을 잘 받았다고 하며 편지를 마쳤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26년(순조26) 7월 4일, 정덕화가 절친인 이춘로를 잘 봐달라며 결성현감으로 가 있는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26년(순조26) 7월 4일, 鄭德和結城縣監으로 가 있는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번에 이별한 뒤로 가을이 되어 마음을 잡지 못하였다는 것을 말하고, 지난 번 수령으로 부임할 때의 안부를 물었으며, 자신은 지난 번 享役 때문에 병이 나서 고생하고 있다고 하였다. 상대편이 다스리는 고을의 廣宗面梨湖에 사는 碩士 李春魯는 자신과 절친하며, 陰崖의 현손이자 故 判書趙德潤의 사위이니 잘 돌보아줄 것과, 시간이 나면 직접 만나 神交를 맺기를 요청했다.
추신으로, 이편에 보내는 書封은 즉시 전해서 답을 받았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6년 정덕화(鄭德和) 서간(書簡)

結城政閣執事入納
羅洞 候書 謹封

頃別綿秋 第難爲懷 向
來溽炎
美赴珍重 撼頓餘
政候萬衛 以慰以祝 益
勞遐怕 弟 省奉姑晏 而
昨經享役 百病交生
苦悶苦悶 就治下廣宗面
梨湖李碩士春魯甫
與弟親切 無異一室 卽
玄裔 且故判書趙德潤
壻郞也 近來流寓鄕曲 凡節
自多齟齬 如有相關 望須
力護 俾生此顔 政如有暇
日且生凉 亦須躬造 以結神交
未知何
徐孺
不問
眞至
並須
典諒否
餘 留不
備禮
丙戌七月四日 弟 德和 拜手

此去書封 卽傳受答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