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5년 유치익(柳致翊) 외 1인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25.0000-20120630.E478406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유치익, 유치직, 이원조
작성시기 1825
형태사항 크기: 30 X 4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5년 유치익(柳致翊) 외 1인 서간(書簡)
1825년 11월 9일, 친 친사돈인 유치익유치직이 조카며느리와 손자의 상황을 전하기 위해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의 안부를 알게 되어 위로 되고 경주에 있는 조카들과 가솔들이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전하고 있다. 또한 이의 어미는 산후의 여파로 마비되고 손자 이는 독감에 걸렸으나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동곽희운 척형(戚兄)이 죽은 것을 한탄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25년(순조25) 11월 9일, 사제 유치익, 유치직이 질부와 종손의 상황을 전하기 위해 사돈인 한개의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25년(순조25) 11월 9일, 査弟 柳致翊, 柳致直이 姪婦와 從孫의 상황을 전하기 위해 사돈인 한개[大浦]의 凝窩 李源祚(1792-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그리던 차에 편지를 받아 감격스럽다는 것과, 편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위로가 된다는 것을 말하였다. 東都에 있는 조카들이 병이 잇따르는 듯, 가솔들이 온전한 사람이 없고, 그중 母는 산후의 여파로 마비가 될 수 있는데 물을만한 의원이 없어 걱정이라고 하였다. 孫은 젖이 부족해 하루에도 몇 번씩 울며, 毒感 후에는 체질도 약해졌으나, 그렇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였다.
允兄이 왕림하겠다고 하지만 혹한에 억지로 올 것은 없다고 하고, 東都 유람에 대해서는 병으로 망쳐 특별히 드릴만한 말이 없다고 하였다. 令의 일이 아직 이와 같다고 하고, 東郭希運 戚兄이 죽은 것을 한탄하였다.
같은 날 발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비슷한 내용의 편지를 2통이나 발송한 것은 의문이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5년 유치익(柳致翊) 외 1인 서간(書簡)

大浦 靜座下執事回納
三峴 柳生拜謝狀 謹封

日所吟者憂病 而又未嘗不吟
此者風韻 以寓其懷 此際
辱惠書 何等感佩 況審
靜裏衛攝 對序增福 玉眷尊幼俱慶
怳一仙眞消息 抃賀萬萬 生等 自秋至今 無
一善狀 諸姪之在東都者 病報相尋 故强作
一行 過期始歸 則大小家眷 又尠完人 其中
所苦 甚有根蔕之慮 産後餘害 或爲風痺 然其
發何其晩必發於脚部 又何意轉側之須人者 今
作戶庭出入 久當自瘳耶 略試藥餌之效耶 不甚
艱奧之症 而苦無可言之醫 悶悶 孫去益奇愛
而終非己物 時或生憤氣也 其母乳道 稍勝於前
合下廣腹 猶啼飢不已 日再三倩哺 毒感後頗
瘦質 顧何必深慮 其母亦是向減之病 不必過費
遠念 允兄有枉意 當此寒酷 不敢强請 容俟
明春亦無妨 未知如何 所謂東遊 言之自愧
問病而往 駄病而歸 只全行齋居送之撓 至若海
山風味 依舊留債 承此俯詢 實無以仰對 錦令
事尙如此 東郭希運戚兄又逝去 咄歎而已 柰何 餘
忙撓 不備 伏惟
下照
乙酉至月初九日 下生 柳致翊·致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