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4년 이야순(李野淳)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24.4717-20120630.002325700896_3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야순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24
형태사항 크기: 33 X 20.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4년 이야순(李野淳) 서간(書簡)
1824년 4월 10일에 이야순이 상대방에게 본인이 지은 남곡 권상길의 묘갈명에 대해 지적해 달라고 청하는 편지이다. 이야순은 ‘자동(紫洞)’의 의견을 정지시켜 그 쪽과 관련된 일이 끝났으니 실로 우리 사림의 다행이라고 하였다. ‘자동’은 안동김씨가 살고 있는 장동(壯洞) 지역이다. 또한 이어서 그는 춘부장의 상황을 전하고 상대방에게 권상길의 묘갈명으로 보낸 글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지적했는지를 들은 대로 알려주시기를 바란다고 청하고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24년 4월 10일, 이야순이 본인이 지은 남곡 권상길의 묘갈명에 대해 지적해 달라고 부탁하는 편지
내용 및 특징
1824년(순조 24) 4월 10일, 李野淳이 본인이 지은 南谷 權尙吉의 묘갈명에 대해 지적해 달라고 청하는 편지이다.
이야순은 상대방을 마음속으로 그리워하였는데 그것을 어찌 잊겠냐고 하면서 공부하시는 일상생활이 더욱 보중할 것이라 생각된다는 말로 서두를 시작하였다. 그런 뒤에 ‘紫洞’의 의견을 이미 정지시켜 그 쪽과 관련된 일이 이미 끝났으니 실로 우리 사림의 다행이라고 하였다. 노론의 세력과 관련된 의견을 정지시킨 일인 듯하다. ‘자동’은 안동김씨 壯洞을 말하는데, 청음 김상헌의 증조부 대에 문과에 급제한 김영, 김번 형제는 고향인 안동소산을 떠나 서울 생활을 하면서 壯義洞에 터전을 마련했다. 장의동은 원래 창의문(자하문) 아래에 있었는데, 紫霞洞 또는 紫洞으로 불리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장동이라 한다.
이야순은 이어서 다만 춘부장께서 조금 편찮으신데 노고가 쌓인 뒤라서 괴이할 것이 없을 거라고 하였다. 그러나 객지에서 조리되고 보호되시는데 많이 거리낄 것이니 이별이 서운할 뿐만 아니라 삼가 오래지 않아 돌아오기를 빌 뿐이라고 하였다. 그런 뒤에 자신이 편지를 보낸 주된 목적이 나오는데, 南谷 權尙吉의 묘갈명은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이라서 사실 지었던 것을 숨겨 놓았다가 지난번에 본가의 사람이 찾아내버려서 너무 황송하고 부끄럽다고 하였다. 자신의 묘갈명을 본 여론들은 뭐라고 하였는지 궁금해 하면서 상대방에게 그들의 높은 안목으로 지적해 주신 것에 흠이 없다 할 수 없겠지만 들은 대로 알려주시기를 바란다고 청하고 있다.
발급인 李野淳(1755-1831)은 자가 健之, 호는 廣瀨이고, 초명은 有晦, 초자는 景容, 본관은 眞寶이다. 李象靖의 문하에 출입하였으며, 이상정이 죽은 후 金宗德에게 훈도를 받았다. 젊어서 부형의 권유로 과거를 보러 갔다가 科場의 무질서와 폐습을 보고는 벼슬길을 단념, 일생을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1796년(정조 20) 漱石亭을 세우고, 퇴계의 유서를 쌓아 놓고 연구하였다. 편지 가운데 나오는 묘갈명의 주인 權尙吉(1610~1674)은 자가 子貞, 호는 南谷․遯翁․近裏齋이다. 본관은 안동으로 아버지는 이고 어머니는 전의이씨이다. 1635년(인조 13)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유학하였다. 병자호란 때 대가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했을 때 聖廟를 개원사로 옮겨 봉안하였으며, 최명길이 화의를 주장하자 성토하며 반대의 상소를 올렸다.
이 편지는 영천이씨 농암종택에서 엮은「先賢筆蹟」 안에 수록되어 있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선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4년 이야순(李野淳) 서간(書簡)

心乎愛之 其可忘耶 想惟
做況益珍 停紫洞已了事矣
實吾林之幸 第
尊府微患 特無怪 於其積費
之餘 然客地調護多碍 不但
奉別之悵 惟不遠而復 是
祝耳 就南谷碣銘 不敢
旣作而復秘 頃被本家人
索去殊甚惶慙 彼中物論
何如云也 凡高眼之 特點疵纇不
得無之 隨聞以報是所
望也 左右之於老物寧或
有穩耶 餘不能盡 惟冀
更加珍勉 諒照
甲申 四月 旬日 戚從 野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