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1년 최영하(崔永夏)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811.0000-20120630.E4784049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최영하, 이규진
작성시기 1811
형태사항 크기: 35 X 44.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1년 최영하(崔永夏) 서간(書簡)
1811년 12월 17일, 최영하가 문안차 좌랑이규진에게 보낸 편지이다. 작별 후에 당신을 그리워했는데 편지로 당신의 소식을 들어 기쁘고 자신은 여전히 쇠약함과 감기로 고생중이라고 하였다. 또한 당신이 부탁하신 일은 잘 알았으며 방법이 있다면 노력을 해보겠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명협을 보낸다고 하며 편지를 마친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인호

상세정보

1811년(순조11) 12월 17일, 최영하[최영순]가 문안차 좌랑이규진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11년(순조11) 12월 17일, 崔永夏[崔永淳]가 문안차 佐郞李奎鎭(1763-1822)에게 보낸 편지이다.
작별한 뒤로 어느덧 겨울이 되어 그리운 마음뿐이었는데, 편지를 받고 편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위로가 된다는 것을 말하고, 지난번의 병은 다 나았는지를 물었으며, 자신은 여전히 쇠약함과 감기로 고생중이라고 하였다. 小紙의 내용은 잘 알았으며, 될 수 있는 길이 있으면 말해주지 않아도 알아서 해 드리겠다고 하였다.
추신으로, 二蓂이 마침 있어서 함께 보낸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은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1년 최영하(崔永夏) 서간(書簡)

李佐郞調案記室
省式謹封

一別 居然冬深 雪意令人可怕 懷仰
耿耿 只勞神迬 卽承審窮陰
調候起居護重 慰荷萬萬 向來
愼節 雖是過境 何等驚慮 今則
夬臻勿藥否 種種仰念 夏 依舊衰
病 又添寒苦 良悶良悶 小紙謹悉 雖
無所示 若有其路 則豈有暫忘
之理乎 或有逢場 則可以說到 而
安望其有效也 歲色垂暮 奉晤
無期 臨紙 只增瞻悵 餘 呵凍 不備謝

辛未臘月十七 永夏

二蓂見存 玆伴呈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