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89년 이완(李埦)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4+KSM-XF.1789.4717-20120630.00032570087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완, 류성휴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89
형태사항 크기: 27 X 38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89년 이완(李埦) 서간(書簡)
1789년 4월 그믐날에 이완이 며느리를 잃은 사돈을 위로하기 위해 한평류성휴에게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의 편지를 받아서 안부를 알았다고 하고, 자신의 딸아이 장례로 심려를 끼쳐서 미안하다고 하였다. 이어서 시강 종숙마저 갑자기 별세하였는데, 외손 남매를 생각할 때마다 처지가 불쌍하다고 하였다. 사위인 엽여는 슬픔에 빠져있어서 자세한 이야기를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하였다.
서진영

상세정보

1789년 4월 그믐날, 이완이 며느리를 잃은 사돈을 위로하기 위해 한평류성휴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789년(正祖 13) 4월 그믐날에 服弟 李埦(1740-1789)이 며느리를 잃은 사돈을 위로 차 閑坪柳星休에게 보낸 편지인 듯하다.
상대편 아들 편에 편지를 받아서 상대의 모친 등이 편안하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하고, 자신의 딸의 葬事로 인해 심려를 끼쳐서 미안하다고 하고, 자신은 葬事를 마치고 나서는 만사가 끝났다고 여겼다고 하면서, 侍講 從叔마저도 갑자기 별세하여 안타깝다고 토로하였다. 외손 남매는 질병은 없으나 생각할 때마다 그들의 처지가 불쌍하다고 하였다. 사위인 燁如(柳晦文, 柳致明의 아버지)는 슬픔에 빠져있어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고 하였다.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金孝京, 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漢文書札의 格式과 用語 硏究』, 朴大鉉,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권경열,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89년 이완(李埦) 서간(書簡)

胤君臨顧
手敎鄭重 拜領悲感 仍審
慈闈體力 對時珍衛
省餘服履萬重 惟是埋
寃日近 仰貽
悲念 爲之悼歎 奈何 弟 已了
寃窆 萬事已矣 拊念疇▣(昔)
百感交至 侍講從叔 又忽棄
背 先行次第零落 種種悲
懷 益無足仰喩者 奈何 ▣
孫男妹 姑免疾恙 爲可▣▣
每念之悲楚 殊愧太上之▣
情耳 燁如悲撓 不能穩晤
別懷愴惻 撓撓不宣 伏惟
下察 謹拜候上狀
己酉四月晦日 服弟 李埦 拜手